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센카쿠 열도 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센카쿠 열도 분쟁은 동중국해에 위치한 무인도인 센카쿠 열도를 둘러싸고 일본, 중국, 대만 간에 벌어지는 영유권 다툼이다. 이 열도는 5개의 무인도와 3개의 암초로 이루어져 있으며, 1895년 일본이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후 자국 영토로 편입했다. 이후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이 관리하다가 1972년 일본에 반환되었지만, 1970년대 대륙붕 석유 매장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중국과 대만이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일본은 역사적 근거와 실효 지배를, 중국과 대만은 역사적 기록과 지리적 연관성을 내세우며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이 분쟁은 동아시아 지역의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으며, 미국은 미일 안보 조약을 근거로 일본을 지원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센카쿠 열도 - 미나미코섬
    미나미코섬은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에 속한 동중국해의 융기 산호초 섬으로, 독특한 지형과 알바트로스 번식지로서 일본이 실효 지배 중이나 중국과 대만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는 공식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 센카쿠 열도 - 센카쿠 제도 개척의 날
    센카쿠 제도 개척의 날은 센카쿠 열도가 이시가키시에 편입된 날을 기념하고 일본의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 이시가키시 의회에서 제정한 기념일이다.
  • 일본의 영토 분쟁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 일본의 영토 분쟁 - 쿠릴 열도 분쟁
    쿠릴 열도 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는 쿠릴 열도에 대해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발생하는 영토 분쟁으로, 1855년 러일 화친 조약 이후 역사적 사건들과 국제법 해석 차이, 제3국의 입장 등이 얽혀 2000년대 이후에도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 아시아 영토 분쟁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 아시아 영토 분쟁 - 북방한계선
    북방한계선(NLL)은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이후 유엔군 사령부가 설정한 해상 경계선이며, 북한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자체적인 해상 군사분계선을 선포하여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센카쿠 열도 분쟁
분쟁 개요
명칭센카쿠 열도 분쟁 (일본) / 댜오위다오 주권 문제 (중국) / 댜오위타이 열도 주권 문제 (타이완)
위치동중국해
분쟁 대상센카쿠 열도 / 댜오위다오 / 댜오위타이 열도
센카쿠 열도 위치
센카쿠 열도 위치: [[File:Blue pog.svg|8x8px|link=]] 우오쓰리시마 (魚釣島) / 댜오위다오 (釣魚島), [[File:Yellow pog.svg|8x8px|link=]] 구바시마 (久場島) / 황웨이위 (黃尾嶼), [[File:Red pog.svg|8x8px|link=]] 다이쇼토 (大正島) / 츠웨이위 (赤尾嶼)
분쟁 당사국
주장 국가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타이완)
역사적 배경
1971년미국, 오키나와 반환 조약 비준 (센카쿠 열도 포함)
1992년중국 군부, 센카쿠 열도 "자국 영토" 개입 명기
주요 쟁점
영유권 주장각 당사국은 역사적, 법적 근거를 들어 센카쿠 열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음.
자원 개발센카쿠 열도 주변 해역의 천연 가스 및 석유 자원 개발에 대한 권리 주장.
어업 권한센카쿠 열도 주변 해역에서의 어업 권한에 대한 분쟁.
사건 및 논란
2010년중국 어선과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 충돌 사건 발생.
2012년일본 정부의 센카쿠 열도 국유화 조치로 중일 관계 악화.
기타일본 우익 단체의 센카쿠 열도 상륙 시도.
중국의 해양 활동 증가 및 일본의 경계 강화.
국제적 입장
미국센카쿠 열도가 미일안전보장조약 적용 대상임을 확인.
관련 단체
보조 운동40년간 지속된 보조 운동, 어업권 주장
일본어 정보
센카쿠 열도 내 3개 섬의 위치
尖閣諸島(센카쿠 열도)のうち3島の位置。(센카쿠 열도 중 3개 섬의 위치.) (파랑: 우오쓰리 섬), 黄:久場島(노랑: 쿠바 섬), (빨강: 다이쇼 섬).
[[魚釣島]](우오쓰리 섬)
魚釣島(우오쓰리 섬). (국토항공사진).
左から尖閣諸島の魚釣島、[[北小島]]、[[南小島]](왼쪽부터 센카쿠 열도의 우오쓰리 섬, [[기타코지마]](북소도), [[미나미코지마]](남소도) (空撮)。(공중 촬영))
左から尖閣諸島の魚釣島、北小島、南小島(왼쪽부터 센카쿠 열도의 우오쓰리 섬, 기타코지마(북소도), 미나미코지마(남소도) (空撮)。(공중 촬영))
東シナ海ガス田の位置(赤点)と日中中間線。(동중국해 가스전의 위치(빨간 점)와 일중 중간선.)
東シナ海ガス田の位置(赤点)と日中中間線。(동중국해 가스전의 위치(빨간 점)와 일중 중간선.) 日本名:春暁は「白樺」、断橋は「楠」、冷泉は「桔梗」、天外天は「樫」、龍井は「翌檜(あすなろ)」(일본명: 슌쿄는 "시라카바", 단쿄는 "쿠스노키", 레이센은 "기쿄", 텐가이텐은 "카시", 류세이는 "아스나로")

2. 지리

센카쿠 열도는 동중국해에 위치하며, 일본 요나구니섬에서 160 km, 타이완과 일본 이시가키섬에서 170 km, 중국에서 330 km 떨어져 있다. 이 열도는 5개의 무인도와 3개의 황무 암초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800m2에서 4.32km2에 이른다.[429]

3. 역사

센카쿠 열도는 류큐 왕국에서 중국 대륙으로 가는 항로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류큐 왕국에서는 오래전부터 그 존재가 알려져 있었다. 오키나와 어부들은 이 섬들을 "유쿤쿠바지마" 또는 "이군쿠바지마"라고 불렀다.[190] 1819년에는 류큐 왕족이 낚시섬에 상륙하여 식수를 조사하기도 했다.[192]

1972년 이노우에 키요시는 『센카쿠 열도 댜오위다오의 역사적 해명』에서 센카쿠 열도가 "중국 고유의 영토"라고 처음 주장했다.[190] 그러나 이노우에의 주장은 류큐·오키나와의 독자적인 역사적 주체를 경시하고, 고문서 이해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190] 하라다 우오는 책봉 류큐사록을 완역한 후, 류큐의 선원이 센카쿠 열도에 대한 지식을 책봉사에게 알려주었으며, 중국어 통역을 겸한 류큐의 항로 안내인이 중국 사신과 중국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섬의 호칭이 중국식으로 된 것은 당연하다고 지적하며 이노우에의 견해를 부정했다.[190]

1879년 류큐 처분으로 오키나와현이 설치되기 전까지, 오키나와·류큐는 막번 체제 하에서 사쓰마번의 지배를 받으면서도 청나라와 책봉 관계를 유지하는 독자적인 이중 조공국이었다.[191] 센카쿠 열도는 이 영역 안에 포함되어 있었고, 류큐 처분 후 일본에서 발행되는 지도에는 류큐 열도의 일부로 기재되었다.

1885년 오키나와현은 다이토 제도 등이 무주지 선점의 법리에 의해 일본 영토가 된 것을 계기로, 센카쿠 열도에 국표를 세우는 것을 메이지 정부에 문의했다.[191] 같은 해 8월, 내무경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오키나와현에 센카쿠 열도 조사를 명령했다. 오키나와현령 니시무라 스테조는 부하인 이시자와 효고에게 현지 조사를 맡겼고, 이시자와는 "'중산전신록'의 아카오여(세키비쇼)는 쿠메 아카지마, 황미여(코비쇼)는 구바섬, 낚시터(초교다이)는 낚시섬에 해당한다"는 보고서를 제출했다.[193] 그러나 니시무라는 국표 건설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고,[194]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외무경 이노우에 가오루에게 의견을 구했다. 이노우에 외무경은 청국과의 관계 악화를 우려하여 국표 건설에 반대했고, 오키나와현의 문의는 기각되었다.[191]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이시가키섬, 미야코섬, 오키나와 본섬 남단의 이토만 등 어부들은 센카쿠 열도 주변 해역에서 활발하게 어업 활동을 했다.[191] 1884년 후쿠오카현 야메시 출신의 실업가 고가 다쓰시로는 센카쿠 열도를 탐험하게 했다.[197] 고가는 센카쿠 열도가 무인도이며 어느 나라의 영향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정부에 섬 개발을 신청했다.[197]

1887년 6월 군함 "곤고"는 나하에서 사키시마 제도 방면으로 향하여, 낚시섬 등의 조사를 실시했다. 일본 정부는 1890년1893년에도 센카쿠 열도에서의 어업 활동 실태를 확인했다.[196][199]

1893년 오키나와현은 어업 단속을 위해 국표 설치를 다시 일본 정부에 요청했고,[191] 일본 정부는 1895년 1월 14일 각의에서 무주지 선점의 국제법 원칙에 따라 센카쿠 열도를 일본 영토로 편입하고 국표를 설치하는 것을 결정했다.[190] 1896년 4월 1일, 센카쿠 열도는 오키나와현 야에야마군에 편입되었고, 우오쓰리 섬, 구바섬, 미나미코지마, 기타코지마, 다이쇼섬은 국유지가 되었다.[201] 이후 고가 다쓰시로에게 30년간 무상 대여되었다.[197][201][20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센카쿠 열도는 연합국 (실질적으로는 미국)의 관리 하에 놓였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으로 일본은 타이완과 펑후 제도를 포기했지만, 센카쿠 열도는 포함되지 않았다. 센카쿠 열도는 류큐 열도 미국 민정부 및 류큐 정부가 관할하는 지역에 편입되었다.

1953년 1월 8일자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기관지 "인민일보"는 류큐 열도에 센카쿠 열도가 포함되어 있다고 소개했다.[208] 그러나 칭화 대학 국제관계연구원의 류장용은 이 기사가 일본어 자료를 번역한 무명 자료이며, 중국 정부의 입장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라고 반론했다.[209][210] 아라자키 모리히데는 중국이 센카쿠 열도를 중국 고유의 영토로 인식하고 있었다면, 미국이 센카쿠 열도를 군정 하에 두고 사격 훈련장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해 항의하지 않은 것은 부자연스럽다고 주장했다.[208]

미군정 하에서도 오키나와 어민들은 센카쿠 열도에서 가다랭이 반제품 제조를 했고,[202] 류큐 대학은 센카쿠 열도 조사를 실시했다.[202] 1955년에는 제3 세이토쿠마루 습격 사건이 발생했다.

1960년대 센카쿠 열도에 다량의 타이완 어민이 입역해 바닷새와 그 알을 남획하고 밀어하는 사태가 속출했다. 1963년 류큐 대학 조사단은 타이완 어민의 불법 행위를 확인했지만, 류큐 정부와 미국 정부는 타이완 당국에 대한 단속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212] 1968년 조사에서는 타이완 어민의 남획으로 바닷새가 격감한 것이 확인되었다. 타이완인에 의한 영토 점거의 기정사실이 쌓여가면서, 제2의 다케시마가 될 우려도 제기되었지만,[212] 당시 일본 국내에서는 중요시되지 않았다.

류큐 정부는 센카쿠 열도가 이시가키시에 속하는 것을 전제로 경비를 실시하고,[213] 타이완 어선에 퇴거를 명령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 1970년 7월에는 영역 표시판을 건립했다.

1968년 유엔의 해저 조사 결과 동중국해에 석유 자원이 매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1970년 타이완이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으며, 중국도 이에 따랐다. 1970년 9월 2일에는 대만의 수산 시험소 선박이 댜오위다오에 상륙하여 청천백일기를 게양했다.[216] 1971년 2월에는 미국에 거주하는 중화민국 국적의 대만 출신 유학생들에 의한 반일 데모가 발생했고, 6월에는 중화민국, 12월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잇따라 영유권을 주장했다.

1972년 5월 15일 오키나와가 일본에 반환되었지만, 대만·중국의 영유권 주장은 오키나와 반환 직전이었다. 중국과 대만은 1970년 이전에는 일본령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미국의 시정 시대에도 항의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유전 발견이 영유권 주장의 동기라는 것이 분명하다.

1978년 4월, 기관총으로 무장한 100척이 넘는 중국 어선이 영해 침범을 반복했다.[229] 후쿠다 다케오 내각이 항의하자 중국은 사건이 "우발적"이라고 응답했다.[229] 같은 해 8월덩샤오핑이 "다시는 앞서와 같은 사건을 일으키지 않겠다"라고 약속했고, 후쿠다 내각은 중일 평화 우호 조약에 조인했다.[229] 덩샤오핑은 센카쿠 열도 문제 해결을 다음 세대에 맡기자고 발언했다.[230]

후나바시 요이치는 중국이 해양 국가인 일본이 가진 센카쿠 열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은 1971년 이후 센카쿠 열도를 "고유 영토"라고 주장해 왔다.[228][231] 중화인민공화국은 센카쿠 열도가 타이완에 부속되어 있으며, 타이완은 중국에 부속되어 있기 때문에 센카쿠 열도는 중국의 일부라고 주장한다.[232] 중국 언론은 센카쿠 열도를 '신성한 영토'라고 칭하고 있다.[233][234]

배타적 경제 수역에 대해 중국 정부는 오키나와 해구까지의 대륙붕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며, 그 대륙붕 위에 놓여있는 해역 전부가 중국의 바다라고 주장하고 있다.[235] 2010년 중국 국가해양국의 '중국 해양 발전 보고'에는 중국이 '본격적으로 해양 강국의 건설에 나선다'는 내용이 기재되었다.[237]

중화민국의 경우, 센카쿠 열도는 타이완에 부속된 열도 중 하나이며, 1895년의 타이완 병합 이래 일본에 영유권이 이전되었다는 것이 공식 견해이다. 그러나 1970년 이전 중화민국의 지도나 공문서 등에서는 센카쿠 열도를 일본 영토로 인식하고 있었다.[238] 1971년 4월 10일, 중화민국 외교부는 센카쿠 열도는 중화민국에 반환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타이완 독립파 정당인 타이완 단결 연맹과 총통이었던 리덩후이는 센카쿠 열도가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주장했다.[238] 리덩후이는 중국의 주장에 대해 "밖에서 예쁜 여자, 남의 아내를 봤다고 해서, 마음대로 '이건 내 아내다, 내 것이다'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라고 비판했다.[241]

마잉주는 총통 취임 전에는 일본과의 교전을 주장했지만, 총통 취임 후에는 "주권 문제 유보론"으로 기울어졌다. 2008년 연합호 사건에서는 긴장이 고조되었지만, 일본의 해상보안청이 사과와 배상을 표명하여 수습되었다.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 직후인 2010년 9월 13일에는 중화민국의 항의선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해안순방서 순방선 12척을 파견했다.

마잉주 정권 탄생 이후 중화민국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경제 융합책을 추진했지만, 2009년 이후에는 대일 관계 재구축을 도모하게 되었다.[243] 2012년 10월 19일, 중화민국의 입법원은 센카쿠 열도의 영유를 선언하는 결의를 사상 처음으로 했다.[247]

2016년 1월 16일, 차이잉원은 총통 선거 승리 후 기자 회견에서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는, 타이완에 속해 있습니다"라고 다시 주장하는 한편, 일본과의 관계 강화를 지속할 의지를 표명했다.[248][249]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후 처리에서도 대립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의 합법성과 유효성을 승인하지 않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후 처리는 타당하며, 센카쿠 열도는 1895년 1월 14일 편입 이후 일관되게 일본이 통치해 온 고유의 영토이며, 이 사실은 국제 사회에서도 인정받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센카쿠 열도 관련 주요 쟁점
중국의 주장일본의 주장
1943년 카이로 선언에서 일본은 만주 등 점령지를 반환해야 하며,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도 이에 포함된다.카이로 선언에서 센카쿠 열도가 대만 부속 도서로 인식되었다는 증거는 없으며,[380] 영토 처리는 평화 조약에 기초한다.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이 일본 영토를 확정했으며, 카이로 선언 등은 법적 효과가 없다.[380] 또한 카이로 회담에서 선언문은 발표되지 않았고, 카이로 선언은 실존하지 않는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에 참가하지 않았으므로 구속되지 않는다.센카쿠 열도는 1895년 편입 이후 남서 제도의 일부이며,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할양된 대만 및 펑후 열도에 포함되지 않는다. 중국은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 체결부터 1970년대까지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380]
미국 국무성은 통치권과 주권은 별개이며, 주권 분쟁은 당사국 협의로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중국은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 제3조에 따른 미국의 통치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미국은 미일 안보 조약 제5조에 따라 센카쿠 열도가 일본 통치 하에 있으며, 조약이 적용된다고 명확히 밝혔다.[380] 1971년 CIA 보고서도 일본 주장이 강력하다고 평가했다.[380]
valign="top"|1952년 일화평화조약 협상 과정에서 센카쿠 열도 영유권은 논의되지 않았다. 이는 일본 영토임이 당연했기 때문이다.[380]
1954년 일본 참의원 위원회에서 센카쿠 열도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다.[288]1953년 1월 8일인민일보』는 류큐 열도가 센카쿠 열도를 포함한 7개 섬으로 구성된다고 기재했다.[380]
지도 기재만으로 중국이 일본 지배를 인정했다고 볼 수 없으며, 지도 주석에 항일 전쟁 이전 지도를 바탕으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380]1958년 중국 『세계 지도집』(1960년 재판)은 "센카쿠 군도"를 오키나와의 일부로 취급한다.[380] 지도 주석은 어느 부분이 해방 전 지도인지 불분명하며, 대만을 "중화인민공화국" 영토로 기재하여 부자연스럽다.[380]
1969년 중화인민공화국 측회총국 발행 "분성지도"는 센카쿠 군도를 틀 밖에 그려 영유를 나타낸다.[395]1969년 측회총국도는 해저 유전 정보 이후 제작되었으며, 틀 밖 표시는 영유 근거가 될 수 없다.[396] 센카쿠 군도로 명기하고 일본식 명칭을 사용했다.[397]
1885~1895년 구바 섬·우오쓰리 섬 표항 건설은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잊혀졌고, 이시가키시 표주 설치는 1969년, 류큐 정부 영유 선언은 1970년으로, 석유 발견 후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288]중국과 대만은 1970년 이후 센카쿠 열도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380] 이는 석유 목적이며, 1972년 저우언라이 발언에서도 분명하다.
일본은 실효 지배하고 있지 않으며, 현재도 무인도이다.오키나와 반환 후 불법 조업 단속, 경비 실시, 고정 자산세 납부, 국유지 관리, 미일 지위 협정에 따른 미군 연습용지 제공, 각종 조사 등을 통해 실효 지배하고 있다.[380]
일본의 입장은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성과 부정, 전후 국제 질서와 유엔 헌장에 대한 도전이다.[380]일본의 센카쿠 열도 영유권 취득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무관하며,[380]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에 따른 전후 처리에 이의를 제기하는 중국이야말로 전후 국제 질서에 대한 도전이다.[380]


3. 1. 오키나와현 편입까지의 경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정부는 1879년 류큐 왕국을 오키나와현으로 병합했다. 이때 센카쿠 열도는 류큐 왕국과 청나라 사이의 경계가 되었다.

1885년, 오키나와현 지사 니시무라 스테조는 메이지 정부에 센카쿠 열도에 대한 통제권 확보를 요청했다.[8] 그러나 외무대신 이노우에 가오루는 청나라와의 관계 악화를 우려하여 반대했다. 그는 센카쿠 열도가 청나라와의 국경 근처에 있고, 중국식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중국 신문이 일본의 센카쿠 열도 점령 시도를 비판하는 기사를 싣고 있다는 점도 언급하며, 일본이 랜드마크를 세우면 청나라의 의심을 살 것이라고 우려했다.[8] 야마가타 아리토모 내무대신은 이노우에의 조언에 따라 섬 병합 요청을 거절하고, 이 문제를 언론에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8]

1895년 1월 14일, 청일 전쟁 중에 일본은 센카쿠 열도를 오키나와현에 편입시켰다.[9] 일본은 1884년부터 조사를 실시한 결과, 센카쿠 열도가 무주지이며 청나라의 통제를 받고 있다는 증거가 없다고 판단했다.[9]

1910년경 센카쿠 열도의 우오쓰리 섬에서 가다랭이 어업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


1885년, 오키나와현이 센카쿠 열도에 일본 영토임을 알리는 국표를 세우려고 메이지 정부에 문의했다.[191] 같은 해 8월, 내무경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오키나와현에 우오쓰리 섬(우오쓰리 섬), 다이쇼 섬(다이쇼 섬), 구바 섬(구바 섬)의 세 섬에 대한 조사를 명령했다. 오키나와현령 니시무라 스테조는 부하인 이시자와 효고에게 현지 주민들로부터 청취 조사를 실시하게 했고, 9월 21일에 이시자와는 현지 주민에게서 받은 보고서를 제출했다. 보고서에는 "'중산전신록'의 아카오여(세키비쇼)는 쿠메 아카지마, 황미여(코비쇼)는 구바섬, 낚시터(초교다이)는 낚시섬에 해당한다"라고 기록되었다.[193] 이시자와로부터 보고를 받은 니시무라는 다음날인 9월 22일에 야마가타 아리토모에게 국표 건설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지만,[194] 10월 9일,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외무경 이노우에 가오루에게 "청국 소속의 증거는 조금도 보이지 않습니다"라고 서한을 보내 의견을 구했다.

10월 21일, 이노우에 외무경은 야마가타 내무경에게 청국의 신문이 대만 부근의 섬에 주의를 촉구하고 있는 시기에 공공연하게 국표를 세우는 것은 정치적으로 좋지 않다고 회신했다. 즉, 오키나와현의 문의는 이노우에 가오루의 "청국에 불필요한 의혹을 품게 해서는 안 된다"라는 판단에 의해 기각된 것이다.[191] 9월 22일자 "오사카 아사히 신문"에 따르면, "청국 신문"은 영국의 영자지 "상하이 머큐리"이며, 대만 부근의 섬은 야에야마 제도를 가리킨다.[195]

1893년, 오키나와현은 어업 단속을 위한 국표 설치를 다시 일본 정부에 요청했다.[191] 오키나와현의 상신서는 무인도를 포함한 해역에서의 어업에 질서를 가져오기 위해 센카쿠 열도가 오키나와현의 행정 구역 내임을 인정해 달라는 내용이었다. 오키나와현은 명실공히 실효 지배를 해야 한다는 이유와 함께, 오키나와현과 청국 사이에 있는 도서가 어느 쪽에 속하는지 확인하고 싶다는 동기에서였다.[200] 이 요청을 받아 일본 정부는 1895년 1월 14일 각의에서 국제법의 무주지 선점 원칙에 기초하여 정식으로 센카쿠 열도를 일본 영토로 편입하고 현지에 국표를 설치하는 것을 결정했다.[190] 오키나와현으로 편입하는 형식을 취한 것은 당시 청국이 이러한 섬들에 특별한 배려를 하지 않았다는 사정도 관계했다.[200]

그 후, 센카쿠 열도는 1896년 4월 1일 오키나와현 야에야마군에 편입되었고, 우오쓰리 섬, 구바섬, 미나미코지마, 기타코지마, 다이쇼섬은 국유지가 되었다.[201]

3. 2. 센카쿠 열도 개발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정부는 센카쿠 열도 개발을 추진했다. 1896년, 고가 다쓰시로는 정부로부터 센카쿠 열도 4개 섬을 무상으로 대여받아 개발 허가를 얻었다. 그는 우오쓰리 섬에 가다랭이포 공장을 경영하며 자본을 투입해 부두, 선착장, 저수장 등을 건설했다.[201] 또한, 바닷새 보호, 조림, 시험 재배 등도 이루어졌다.[201]

일본인들의 이주도 활발하게 진행되어, 바보새의 깃털 채취, 바닷새 박제 제작도 이루어졌다.[201] 특히 가다랭이포 제조는 섬의 주요 산업이었으며, 전성기에는 99가구, 248명의 일본인이 거주했다.[201][202] 센카쿠 열도 주변은 가다랑어, 참치 등 회유어가 풍부하여 가다랭이포 공장은 당시 신선도 유지가 어려웠던 가다랑어를 상품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키시마 제도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주된 노동력이었으며, 기술자는 미야자키현에서 파견되었고, 이후 고치현에서 가다랭이포 제조에 능숙한 여성들이 이주해 왔다.[201]

1932년, 고가 다쓰시로의 아들 고가 젠지는 무상 대여받았던 섬들을 유상으로 매입하여 센카쿠 열도는 사유지가 되었다.[202] 그러나 남양군도에서 저렴한 제품이 유입되면서 경영난을 겪었고, 1940년 전시 체제 하의 연료 부족 등으로 가다랭이포 공장은 문을 닫았다.[202] 이후 센카쿠 열도는 다시 무인도가 되었다.[202] 섬 소유권은 1972년 오키나와 반환 이후 다른 사람에게 양도되었다.[202] 2012년에는 우오쓰리 섬, 기타코 섬, 미나미코 섬이 국유화되었지만, 구바 섬은 여전히 민유지로 남아있다.[204]

3. 3. 미국에 의한 오키나와 통치 시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배한 후, 센카쿠 열도는 미국 류큐 열도 민정부의 관리 하에 놓였다.[9]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일본이 타이완 및 이에 속하거나 부속된 모든 섬에 대한 통제권을 포기했을 때, 센카쿠 열도가 '타이완 섬과 타이완에 속하거나 부속된 섬'의 일부로 암시되는지에 대해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정부 간에 이견이 있었다.[8]

중국 본토와 타이완은 1885년 섬의 병합 요청을 거부한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이유와 결정을 인용하여 일본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42] 반면 일본은 해당 조약 제3조에 따라 섬이 류큐 열도의 일부로 미국 류큐 열도 민정부의 관리 하에 놓였으며, 중국은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 제3조에 따른 섬의 지위가 미국의 관리 하에 있는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9]

일본 정부는 시모노세키 조약이 중국 청나라가 일본에 할양한 타이완 섬과 타이완에 속하거나 부속된 섬의 지리적 경계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으며, 협상 기록에서 센카쿠 열도가 조약 제2b조의 타이완 섬과 이에 속하거나 부속된 섬에 포함된다는 해석을 뒷받침하는 내용은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조약 서명 전에 센카쿠 열도를 오키나와현에 병합했다고 밝혔다.[9]

1972년, 미국은 센카쿠 열도를 포함한 오키나와와 류큐 열도에 대한 점령을 종료했다.[12] 미국은 오키나와의 일부로 섬의 관리를 일본에 이전했지만, 그들의 주권이 누구에게 있는지에 대한 입장을 취하지 않았다.[13]

3. 4. 문제 발생

1968년 유엔의 해저 조사 결과 동중국해에 석유 자원이 매장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61][62] 1970년 타이완이 센카쿠 열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고,[14] 1971년에는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61][62]

이석우는 "영토 분쟁이 결정되어야 하는 날짜"가 중요하며, "일본이 센카쿠 열도를 일본 영토로 병합한 1895년 1월, 타이완의 경우 1971년 2월, 중국의 경우 일본이 오키나와 반환 조약을 체결하면서 공식 입장을 밝힌 1971년 12월 중 어느 날짜가 결정 날짜인지에 따라" 분쟁의 결과가 달라진다고 지적한다.[14] 그는 "일본이 분쟁 중인 섬에 대해 더 강력한 주장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을 내리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 내렸다.[15]

일본 외무성은 역사적 사실과 국제법에 비추어 센카쿠 열도가 일본 고유의 영토이며, 일본의 유효한 지배 하에 있다고 주장한다.[9][56] 또한, 센카쿠 열도와 관련하여 해결해야 할 영토 주권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9][56] 일본 정부는 1895년 이전에는 이 섬에 사람이 살지 않았고, 중국의 지배를 받았다는 흔적이 전혀 없었다고 주장한다.[57]

4. 영유권 주장

센카쿠 열도 분쟁은 동중국해에 위치한 센카쿠 제도를 둘러싸고 일본,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중화민국(대만)이 각기 영유권을 주장하며 발생하는 갈등이다. 센카쿠 제도는 일본 요나구니섬에서 160km, 대만과 일본 이시가키섬에서 170km, 중국에서 330km 떨어져 있다.[429]

각 국가는 역사적, 법적 근거를 제시하며 영유권을 주장한다. 일본은 1895년 청일 전쟁 중 센카쿠 열도를 무주지로 확인하고 오키나와현에 편입했다는 점을 강조한다.[9] 반면, 중국과 대만은 시모노세키 조약에서 일본에 할양된 타이완 섬과 그 부속 도서에 센카쿠 열도가 포함된다고 주장하며, 1885년 일본의 섬 병합 요청 거부 사실을 근거로 제시한다.[42]

1972년 미국은 센카쿠 열도를 포함한 오키나와와 류큐 열도에 대한 점령을 종료하고 일본에 반환했지만, 주권 귀속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13]

최근 중국 해군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센카쿠 열도 주변 해역에서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2012년 일본의 센카쿠 국유화 조치 이후 중국 군함이 처음으로 센카쿠 근해에 접근했으며,[429] 2016년에는 중국 군함이 처음으로 센카쿠 주변 접속 수역에 진입했다.[429] 2019년에는 중국 관공선의 센카쿠 열도 인근 진입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430]

분쟁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도 있었다. 1972년 중일 국교 정상화 당시 양국은 영토 문제를 제쳐두기로 합의했으며,[95] 덩샤오핑은 "다음 세대가 해결할 것"이라고 언급했다.[96] 1969년 유엔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ECAFE)가 센카쿠 열도 인근의 석유 및 가스 매장량을 확인한 후, 양국은 해저 자원 공동 개발을 논의했지만 실패했다.[97] 2008년에는 자원 공동 개발에 대한 예비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섬과 멀리 떨어진 지역만 포함되었다.[98]

4. 1. 중국의 입장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1895년 1월 일본의 센카쿠 열도 각의 결정이 청일 전쟁의 결과로 타이완, 펑후 제도를 일본에 할양한 것과 사실상 같다고 본다. 또한 '책봉유구사록' 등의 옛 문서 기록을 바탕으로, 나라 때부터 센카쿠 열도가 중국 '고유의 영토'였다고 주장한다.[190] 즉, 센카쿠 열도가 타이완에 속하고, 타이완은 중국에 속하므로, 센카쿠 열도 역시 중국의 일부라는 주장이다.[232] 중국 언론도 '중국적 성신 영토 댜오위다오' 등 신성한 영토라고 부르고 있다.[233][234]

배타적 경제 수역(EEZ)에 대해서는 해양법에 관한 국제 연합 조약(유엔 해양법 조약)에서 양국 간 합의로 경계를 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양국 간 해역이 겹치는 경우 중간선을 기준으로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다.[235] 그러나 중국 정부는 동중국해에서의 경계에 대해 중간선 방식을 따르는 합의를 거부하고, 난세이 제도 서쪽에 뻗어 있는 오키나와 해구까지의 대륙붕 전부에 대해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그 대륙붕 위에 있는 해역 전부가 중국의 바다라고 주장한다.[235] 과거에는 중국이 주장하는 대륙붕 연장론이 인정되기도 했지만, 1994년 유엔 해양법 조약 발효 이후에는 중간선 방식이 원칙이 되었고, 이는 국제 재판에서도 유사한 판례로 나타나고 있다.[235] 중국의 주장이 받아들여지면 동중국해 대부분이 중국의 관할 해역이 된다.[235]

센카쿠 열도 주변에서 조업하는 중국 어민들은 푸젠성 진장시를 거점으로 한다.[236] 진장시는 동중국해와 남중국해로 거의 같은 거리에 있고, 국가 정책으로 양쪽 해역에 진출하는 거점이 될 수 있는 곳에 건설된 항구 도시로 추정된다.[236] 센카쿠 열도까지는 500km나 떨어져 있지만, 진장 어민들에 따르면 센카쿠 열도 주변에서 잡은 물고기는 특히 비싸게 팔린다고 한다.[236]

2010년, 중국 국가해양국의 '중국 해양 발전 보고'에는 중국이 '본격적으로 해양 강국 건설에 나선다'는 내용이 실렸다.[237] 2010년 3월,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남중국해와 관련하여 "남중국해는 중국의 '''핵심 이익'''에 속한다"라고 미국 정부의 스테인버그 국무부 부장관에게 전달했으나, 이후 중국은 발언을 수정했다.[407][408] 2010년 10월에는 중국이 동중국해를 국가 영토 보전상 "핵심 이익"에 속하는 지역으로 하는 방침을 새롭게 정했다.[408] 2012년 1월 17일에는 런민일보가 센카쿠 열도를 "핵심 이익"이라고 표현했다.[407] 2012년 10월 25일에는 중국 국가해양국의 류츠구이 국장이 "남중국해에서의 권익 보호는 우리나라의 핵심 이익과 관련된다"라고 발언했고, 이는 사실상 공식 발언이 되었다.[409] 2013년 4월 26일에는 중국 외교부의 화춘잉 부대변인이 "댜오위다오 문제는 중국의 영토 주권 문제이며, 당연히 중국의 핵심 이익에 속한다"라고 명언했지만[410], 4월 28일 표현이 수정되었다.[411]

4. 2. 대만의 입장

중화민국센카쿠 열도가 타이완에 부속된 열도 중 하나이며, 1895년 타이완 병합 이래 일본에 영유권이 이전되었다는 공식 견해를 가지고 있다.[238] 그러나 1970년 이전 중화민국의 지도나 공문서 등에서는 센카쿠 열도를 일본 영토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미국의 통치 시대에도 이에 대해 항의하지 않았다. 중화민국이 센카쿠 열도 영유권을 주장한 것은 주변 해역에 풍부한 천연 자원이 있다는 유엔의 조사 결과가 발표된 이후이다.[238]

1971년 4월 10일, 중화민국 외교부는 미국 국무부 대변인의 발언에 대해 정보사장 담화를 발표하여 센카쿠 열도를 중화민국에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날, 미국 동부 대학에 유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 시위대가 워싱턴 D.C.에서 항의 행동을 벌였고, 로스앤젤레스에서도 중국계 미국인 학생들이 일본 총영사관에 시가행진을 벌였다.[239]

타이완 독립파 정당인 타이완 단결 연맹(대련)은 센카쿠 열도가 "일본 고유의 영토이다"라고 주장한다. 리덩후이 전 중화민국 총통은 오키나와 타임스 인터뷰에서 "센카쿠 열도의 영토는 오키나와에 속해 있으며, 결국 일본의 영토이다. 중국이 아무리 영토권을 주장해도 증거가 없다. 국제법적으로 봐서 무엇에 의거하는지 명확하지 않다"라고 말했다.[238]

리덩후이는 일본이 민주 국가이며 센카쿠 열도가 오키나와에 속하므로 일본 영토라고 주장했다.[240] 그는 1970년경 주변 해역에 석유 매장이 확인된 이후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은 국제법상 근거가 없다고 비판하며, 중국의 주장을 "밖에서 예쁜 여자, 남의 아내를 봤다고 해서, 마음대로 '이건 내 아내다, 내 것이다'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라고 비유했다.[240][241] 다만, 어업권에 대해서는 일본과 중화민국 간 협의가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일본과 중화민국을 잇는 중간 지점으로서의 오키나와를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240]

일본 정부의 센카쿠 열도 국유화 이후 2013년 리덩후이는 중국이 주변국에 대한 내정 및 영토 간섭을 반복하며 힘을 과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중국을 '졸부'에 비유하며, 일본 정치인들이 중국을 배려하여 센카쿠 열도가 일본 영토라는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 정부가 중국이 손을 댄다면 싸운다는 각오를 보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242] 또한 리덩후이는 중국 인민 해방군이 해군 강화를 위해 센카쿠 열도 주변 영해·영공 침범을 반복하지만, 미국군을 두려워하여 군사 침공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하며, 중국의 센카쿠 열도 "공동 관리" 제안을 단호히 거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242]

마잉주 전 타이베이 시장은 과거 일본과의 교전을 주장했지만, 총통 취임 후 센카쿠 열도 주권 문제 유보 및 주변 해역 공동 자원 개발을 제안하며 어업권 교섭을 우선시하는 방침을 밝혔다. 그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해양 조사 활동에 대해 부정적이며, 중화민국 당국은 센카쿠 열도 문제에 대해 중국 측과의 연계, 협력은 일절 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2008년 연합호 사건에서는 중화민국 측이 순시선을 파견하며 긴장이 고조되었지만, 일본 해상보안청의 사과와 배상으로 수습되었다. 중국 어선 충돌 사건 직후인 2010년 9월 13일에는 중화민국 순방선 12척이 파견되었으나, 중화민국 정부는 냉정하게 대처하며 중·일 간 다툼에 관여하지 않았다.[243] 2012년에는 중화민국 순시선이 일본 순시선에 방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44]

마잉주 정권은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경제 융합책을 추진했지만, 2009년 이후 대일 관계 재구축을 도모했다.[243] 2010년 6월, 일본과 중화민국은 요나구니 섬 상공의 방공 식별 구역 재검토를 실시했다.[245] 동일본 대지진 당시 타이완은 150억 엔 이상의 의연금을 지원했다.[243] 센카쿠 열도 문제와 관련하여 과격한 활동가들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반 중화민국 정부 입장에 있으며, 중국 공산당과 가까운 조직이 배후에 있다고 알려져 있다.[243] 중화민국 정부에 가까운 측에서는 타이완 어민들이 어획을 위해 센카쿠 근해에 나가고 싶어하며, 어업만 허용되면 국민 감정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243]

2012년 10월 19일, 중화민국 입법원은 센카쿠 열도 영유를 선언하는 결의를 처음으로 가결했다.[247] 그러나 센카쿠 열도 해역이 중화인민공화국 영토가 된다면 가장 곤란한 것은 중화민국이며, 중화민국 당국이 고집하는 것은 센카쿠 열도 영유권이 아니라 어업이라는 전문가 의견도 있다.[243]

2016년 1월 16일, 차이잉원 총통은 센카쿠 열도가 타이완에 속한다고 주장하면서도, 일본과의 관계를 중시하며 주권 분쟁이 관계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녀는 일본과의 관계 강화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248][249]

4. 3. 일본의 입장

일본 정부는 센카쿠 열도가 역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일본 고유 영토라고 강조한다.[102] 1895년 이전 센카쿠 열도가 무인도였으며 중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없다는 점을 내세운다.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 논의 과정에서 미국 수석 대표 존 포스터 덜레스는 일본이 류큐 열도에 대한 "잔여 주권"을 가지고 있다는 개념을 제시했다.[75] 1971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헨리 키신저 국가 안보 보좌관과의 대화에서 센카쿠 열도에 대한 일본의 "잔여 주권"을 확인했다.[78] 그러나 닉슨 행정부는 미국 상원에 오키나와 반환 조약을 제출하면서 일본의 "잔여 주권" 개념에 센카쿠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했다.[79]

1971년 미국 중앙정보국(CIA) 보고서는 "센카쿠에 대한 일본의 주권 주장은 강력하며, 소유권에 대한 입증 책임은 중국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77]

일본은 센카쿠 열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를 행사하고 있다. 1953년 12월 25일, 류큐 열도의 미국 민정청 포고 27(USCAR 27)은 센카쿠 열도를 포함하는 류큐 열도의 지리적 경계를 설정했다.[74] 미국은 섬 통치 기간 동안 섬에 사격장을 건설하고 일본인 정착민에게 임대료를 지불했다.[75]

2004년, 2010년, 2012년 9월에 미국 정부 고위 관리들은 일본이 섬에 대한 실질적인 행정 통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섬은 1960년 미일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에 해당하며, 이는 중국을 포함한 누군가가 공격하거나 점령하거나 통제하려 할 경우 미국이 일본을 방어하도록 요구한다고 선언했다.[81] 2012년 11월 29일, 미국 상원은 2013 회계연도 국방 수권법에 일본이 행정 통제를 하는 센카쿠 열도가 미일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의 범위에 해당하며, 미국은 무력 공격 시 일본을 방어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수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82][83]

분쟁 격화의 원인에 대한 설명은 다양하다.[100][101] 일본 정부는 1970년대 초부터 "영토 분쟁"이라는 용어 사용을 거부해 왔다.[102]

5. 주요 쟁점

1953년 12월 25일, 류큐 열도의 미국 민정청 포고 27(USCAR 27)은 센카쿠 열도를 포함하는 류큐 열도의 지리적 경계를 설정했다.[74] 미국은 이 섬들을 통치하는 동안 섬에 사격장을 건설하고 연간 11000USD의 임대료를 지불했다.[75]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 논의 과정에서, 미국 측 대표 존 포스터 덜레스는 일본이 류큐 열도에 대한 "잔여 주권"을 갖는다는 개념을 제시했다.[75] 1957년 6월,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미일 정상 회담에서 일본 총리 기시 노부스케에게 류큐에 대한 "잔여 주권"은 "미국이 일정 기간 동안 그 권리를 행사하고 그 후 주권이 일본으로 반환될 것"을 의미한다고 확인했다.[75] 1962년 3월,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류큐에 대한 행정 명령에서 "나는 류큐를 일본 본토의 일부로 인정하며 자유 세계의 안보 이익이 일본의 완전한 주권 회복을 허용할 날을 고대한다"고 말했다.[75] 미국은 센카쿠 열도를 류큐에서 분리하려는 조치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잔여 주권" 적용은 센카쿠 열도에도 해당되는 것으로 보였다.[75]

1971년 5월, 미국 중앙정보국(CIA) 보고서는 "센카쿠에 대한 일본의 주권 주장은 강력하며, 소유권에 대한 입증 책임은 중국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77] CIA는 1968년경 인근 대륙붕에서 잠재적인 석유 매장량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일본, 중국, 대만 간의 섬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77]

1971년 6월 7일,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오키나와 반환 합의 직전, 헨리 키신저 국가 안보 보좌관과의 대화에서 센카쿠 열도에 대한 일본의 "잔여 주권"을 확인했다.[78] 그러나 1971년 10월 20일, 미국 국무 장관 윌리엄 로저스는 미국 의회에 보낸 서한에서 "미국은 그 섬들에 대한 행정 권한을 일본에 반환하는 것이 어떤 근본적인 주장도 침해할 수 없다고 믿는다"고 밝혔다.[79] 여러 전문가들은 1971~1972년 닉슨의 중국 방문으로 절정에 달한 백악관의 대중국 접근이 이러한 정책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75]

1971년12월 30일,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성명은 댜오위다오(釣魚臺, 센카쿠 열도의 중국 명칭)는 중국 영토라고 주장했다.

일본의 주장은 외무성 홈페이지 "[https://www.mofa.go.jp/mofaj/area/senkaku/qa_1010.html#q1 일본의 영토를 둘러싼 정세 센카쿠 열도에 관한 Q&A]"(2013년 6월 5일)에 정리되어 있다.

국제법 판례 중 하나인 쁘레아 비헤아 사원 사건에서는, 분쟁 발생 이후 한쪽 당사국에 의한 실효적 지배가 영유권 주장의 유리한 조건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이 분쟁 발생 시점을 결정적 기일(Critical date)이라고 한다.

국제법 판례에서는 불명료한 기록에 의한 간접적 추정은 인정되지 않으며, 과세나 재판 기록과 같은 행정, 사법, 입법의 권한을 행사한 의심 없는 실효 지배의 직접적이고 근대적인 증거가 요구된다.[381][382]

센카쿠 열도 분쟁에 대한 양측의 주장
중국 측 주장일본 측 주장
1880년 청일수호조약 추가 조항에서, 일본과 청국이 류큐를 분할하려는 분할 개약 문제가 발생했지만, 교섭은 결렬되었고 류큐 귀속 문제는 미해결 상태이다.센카쿠의 동쪽에는 구메지마 부근의 류큐국 영토선이 존재하고, 센카쿠의 서쪽에는 타이완섬 북단 및 푸젠 연안의 중국 영토선이 존재했다. 청일 양국에게 영토선 밖의 무주지였기 때문에, 분할 개약안도 카이로 선언도 적용할 수 없다.
valign="top"|1885년부터 일본 정부는 현지 조사를 실시하여, 센카쿠 열도가 무인도일 뿐만 아니라 청국의 지배가 미치고 있는 흔적이 없음을 신중하게 확인한 후 1895년 1월 14일의 표주 건설 각의 결정에 의해 정식으로 일본의 영토로 편입했다. 이는 국제법의 선점의 법리에 근거한다.[380]
1885년 10월 21일 이노우에 가오루 외무대신에서 야마가타 아리토모 내무대신에게 보낸 서한에서는 청국 정부를 경계해야 한다고 언급되어 있다.해당 서한은 오히려 일본이 정중하고 신중하게 영토 편입 절차를 진행해 왔음을 나타낸다.[380]
valign="top"|1893년 일본인이 코바지마(쿠바시마, 센카쿠의 일부)에 표류했을 때, 청국은 일본인이 코바지마에 자유롭게 왕래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도 아무런 항의도 하지 않았으므로, 센카쿠 부근을 자국의 영토로 인식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385]
1894년 12월 27일, 일본 내무대신이 외무대신에게 보낸 비밀 문서에서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 탈취 기회를 노렸다고 이노우에 키요시는 해석했다.[288]일본 정부 문서에서는 센카쿠가 청국 국경에 "접근해 있다"고 명기하여, 센카쿠가 무주지임을 확인하고 있었다. 이는 오히려 일본이 영유한 정당성을 나타낸다.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시모노세키 조약에 의하지 않고 불법으로 센카쿠 열도를 빼앗았다.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일본이 할양받은 타이완 및 펑후 제도에 센카쿠 열도는 포함되지 않는다.[380] 청국은 센카쿠 열도를 통치하고 있지 않았으므로 할양할 권한이 없었다.[387]


5. 1. 결정적 기일

센카쿠 열도 분쟁에서 결정적 기일은 분쟁 당사국 간의 영유권 주장이 명확하게 대립하기 시작한 시점을 의미한다. 국제법상 이 시점 이후의 행위는 영유권 주장의 근거로 인정받기 어렵기 때문에, 결정적 기일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75] 쁘레아 비헤아 사원 사건과 망키에 에클레오 사건과 같은 국제사법재판소 판례에서도 결정적 기일 이후의 분쟁 당사국의 행동은 중시하지 않는다고 판시하고 있다.[75]

센카쿠 열도 분쟁의 경우, 각 당사국이 주장하는 결정적 기일은 다음과 같다.

당사국주장하는 결정적 기일근거
일본1895년 1월 14일 (일본 내각의 센카쿠 열도 영토 편입 결정)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이전부터 센카쿠 열도가 일본의 고유 영토였으며, 실효적으로 지배해왔다는 점을 강조한다.
중화인민공화국1971년 (미국이 오키나와 반환 협정을 통해 센카쿠 열도 행정권을 일본에 이양한 시점)1971년 이전까지는 센카쿠 열도에 대한 영유권 분쟁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미국의 행정권 이양 이후 중국이 처음으로 영유권을 주장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중화민국1970년 또는 1971년중화인민공화국과 유사한 논리를 주장한다.



국제법적 관점에서 볼 때, 일본이 주장하는 1895년은 청일전쟁의 결과로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기 이전이므로, 일본의 주장이 더 설득력이 있다고 평가된다. 반면, 중국과 대만이 주장하는 1970년대는 이미 분쟁이 발생한 이후이므로, 결정적 기일로 인정받기 어렵다. 클리퍼턴 섬 사건과 같은 재판례를 참고할 수 있다.

5. 2. 누가 최초로 발견하고 실효 지배했는가

일본 정부는 센카쿠 열도가 역사적으로 일본 영토인 난세이 제도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1885년경부터 오키나와현을 통해 현지 조사를 실시했고, 민간인 고가 다쓰시로의 탐험 결과 센카쿠 열도가 무인도이며 청나라의 지배 흔적이 없음을 확인한 후, 1895년 1월에 일본 영토로 편입했다는 것이다.[205] 이는 국제법상 선점에 해당하며, 센카쿠 열도는 일본이 청나라로부터 할양받은 타이완 및 펑후 제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205]

나카가네 가즈쓰구는 중국 측의 주장에 대해 "일본의 주장은 '무주지 선점의 법리'이다. 센카쿠는 무인도일 뿐만 아니라 청나라의 지배가 미친 흔적이 없음을 신중하게 확인하고, 1895년1월 14일에 정식으로 영토에 편입했다는 것이다"라고 반박한다.[207]

중국 정부는 나라 시대 류큐 열도에 대한 책봉사의 보고서인 고문서에 댜오위다오를 목표로 항해했다는 기술이 있다는 점과, 에도 시대 일본 학자 하야시 시헤이가 쓴 삼국통람도설에 있는 지도의 채색 등을 근거로 든다.[206] 그러나 일본 측은 『삼국통람도설』에서 타이완과 센카쿠를 다른 색으로 칠하고 있으며, 청의 타이완 영유가 1683년이고, 100년 후에 쓰여진 『삼국통람도설』에서도 청이 복숭아색으로 타이완이 노란색인 것과 모순된다고 지적한다.[206] 또한 국제법에서는 고문서는 신빙성을 입증하기 어려워 증거 서류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206]

중화민국은 1970년 이전까지 센카쿠 열도를 일본 영토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미국의 통치 시대에도 항의하지 않았다. 중화민국의 센카쿠 열도 영유권 주장은 주변 해역에 풍부한 천연 자원이 있다는 유엔의 조사 결과가 공표된 이후이다.[238] 1971년 4월 10일, 중화민국 외교부는 미국이 센카쿠 열도를 일본에 반환한다는 발언에 대해 항의하며, 센카쿠 열도는 중화민국에 반환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타이완 독립파 정당인 타이완 단결 연맹과 전 총통 리덩후이는 센카쿠 열도가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주장한다. 리덩후이는 "센카쿠 열도의 영토는 오키나와에 속해 있으며, 결국 일본의 영토이다. 중국이 아무리 영토권을 주장해도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238]

2016년 총통 선거에서 승리한 차이잉원은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는 타이완에 속해 있다"고 주장하면서도, 일본과의 관계 강화를 지속할 의지를 표명했다.[248][249]

결정적 기일 문서에 따르면, 국제법 판례인 쁘레아 비헤아 사원 사건에서는 분쟁 발생 이후 한쪽 당사국에 의한 실효적 지배가 영유권 주장의 유리한 조건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중국 측이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한 이후 일본의 실효적 지배나 중국 및 대만의 주권 행사 행동은 인정되지 않는다.

일본 측 주장에 따르면 센카쿠 열도는 중국에 속한 적이 없으며, 선점을 영유권의 근거로 삼고 있다. 센카쿠 열도의 서쪽에는 1461년부터 1871년까지 역대 중국 왕조의 영토선이 존재했으며, 센카쿠는 일관되게 영토 밖이었다고 한다.[291]

국제법상 영역 권원으로서의 선점은 권원 취득을 위한 사실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며, 1928년의 팔마스 섬 판례에서는 선점이나 시효가 아닌 "영역 주권의 지속적이고 평화로운 행사"가 유효하다고 판결했다. 동그린란드 재판에서는 "정착에 적합하지 않은 무인 지에서는 타국이 우월한 주장을 하지 않는 한 미약한 실효 지배라도 유효하다"고 판시했다.

영토 권한에 관한 역사적 기록
베이징 정부·타이베이 정부·중국 영토론자의 주장일본 정부·일본 영토론자의 주장
홍무 5년(1372년)에 푸젠 36성이 황제로부터 류큐국을 하사받았다. 그 항로상에서 반드시 센카쿠를 경유했을 것이며, 발견자는 명나라 사람이다.센카쿠 해역에서 조종한 류큐인은 민인(푸젠인)의 후손인 "36성"이지만, 『황명실록』 가정 26년(1547년)의 기록에 따르면 일찍부터 류큐국에 입적했다. 36성의 조상은 홍무 25년(1392년)에 류큐국에 입적했지만, 그 이전인 홍무 5년(1372년)부터 거의 매년 류큐국은 푸젠까지 왕복 도항하는 배를 파견했으며, 센카쿠 항로를 토착 류큐인이 먼저 알고 귀화인 36성에게 가르쳐 주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292] 따라서 류큐인이 중국인보다 먼저 센카쿠 열도를 발견했다는 역사는 분명하다. 홍무 5년(1372)에 양재가 제1차 도류했을 때, 복로에서만 류큐에서 푸저우까지 구메촌 조상의 푸젠인이 도항했음이, 그 후의 구메촌 통사의 자랑스러운 조업으로 역대 기록된다. 따라서 왕로에서는 황제 흠명 사절 양재를 푸젠인이 도항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차 도류의 물길 안내인은 류큐인이었음을 알 수 있다.[293]
북소도, 남소도는 "설포란"이라고 불리며, 지지에 기재되어 있다."설포란"은 대만의 화롄인 것은 사학의 상식이며, 센카쿠와는 전혀 무관하다.[294] 북소도, 남소도, 오키노키타이와, 오키노미나미이와, 비세에 대해서는 중국의 고문서에 기재조차 없고, 일본의 무주지 선점은 확정되어 있다.
1403년(명대)에 저술된 『순풍상송』이라는 서적에 댜오위타이의 문자가 있다.『순풍상송』 원고의 권두 부기에는 서양 항로만 실려 있으며, 전반부의 서양 부분은 1403년에 성립했고, 후반부의 동양 부분은 1570년 이후에 성립하여 나중에 부가되었다. 후반부의 말미에 실리는 센카쿠 항로는 1403년과는 무관하다.[300][301] 『순풍상송』 후반부에는 "나가사키에 포르투갈인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므로, 『순풍상송』 후반부는 나가사키가 개항하여 포르투갈인이 거주하기 시작한 1570년경 이후에 저술된 서적이다.[302] 또한 『순풍상송』에 기록된 센카쿠 항로는 중국의 일반적인 항로와는 다른 류큐인에게 특유한 항행이므로, 이 항해의 기술은 류큐 측 기록에 의존하고 있다.[303]
valign="top" |1461년의 명나라 『대명일통지』에는 푸젠성, 저장성 등 각지의 동쪽 끝이 "해안까지"라고 명기되어 있으며, 명나라의 동쪽 끝은 해안까지이다.[304] 또한 류큐의 서쪽 끝은 아카시마(지금의 대정섬)까지라고 명나라의 책봉사·곽여림이 명나라 황제에게 상소하고 있다.[305] 동쪽 끝과 서쪽 끝 사이는 무주지이다.
1534년의 책봉사 진간의 보고서 『사류구록』에 "댜오위타이를 이정표로 항행했다"라는 기술이 있다. 이처럼 명나라 시대에 이미 중국인이 댜오위타이(센카쿠 열도)의 존재를 알고 있었음이 분명하며, 댜오위타이를 처음 발견한 것은 중국인이다. 같은 『사류구록』에 "평가산을 지나, 댜오위서을 지나, 황모서를 지나, 적서를 지나", "고미산〔구메지마〕이 보였지만, 즉 류큐에 속한다"라고 있으며, 또한 구메지마에는 류큐 측의 관리가 마중을 나왔다. 이는 구메지마에서 류큐의 영내였음을 밝히고 있으며, 거기에서 이서의 센카쿠는 중국 영토이다.최고(最古)의 기록인 진간을 태운 책봉선은 조공하러 온 류큐인의 선도와 조종에 의해 운용되었으며, 이 사실을 진간은 출항 전에 매우 기뻐했으며[307]("진간의 삼희"라고 한다), 중국이 발견하기 전에 류큐인이 발견하여 항로로 사용했다는 증거이다.[308] 구메지마에서 관리가 맞이한 것은 류큐국의 서쪽 끝을 나타내며, 한편 명나라의 동쪽 끝은 "대명일통지" 등 여러 사료에 기록된 대로 대륙 연안이었다. 중간의 센카쿠는 무주지이다.[309] 진간 『사류구록』은 센카쿠 최고(最古)의 기록이며, 최고(最古)부터 이미 류큐 기록의 서중(書中)에 센카쿠 댜오위서가 출현하므로, 이미 류큐 문화권으로 진간은 인식하고 있다. 차이나 국내의 지리서에는 센카쿠 댜오위서가 한 번도 출현하지 않는다.[310]
1556년의 정순공 『일본일감』에 "댜오위서, 소동소서也。"라고 있으며, 소동은 대만이다.『일본일감』의 "소동"은 대만섬이 아니라, 푸젠에서 본 근동 해역(대만을 포함)이다. 『일본일감』 중에서 대만섬은 "소동도" "소동지섬"이라고 기재되어 있다.[311] 또한 한문 지지 용어에는 대원소근이라는 법칙성이 있으며, 대류큐는 오키나와, 소류큐는 대만섬, 대서(대서양)는 유럽 부근, 소서(소서양)는 인도 부근, 대동(대동양)은 일본 부근이다. 소동=근동=소동양의 해역에는 댜오위서뿐만 아니라 요나구니섬도 포함될 수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댜오위서가 대만 부속 도서였다는 증거가 되지 않는다.[312] 애초에 소동·소동양은 대만이 중국의 영역 밖이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이다.[313] 정순공 『일본일감』의 "만리장가"에서는, 상련에서 대만 부근 및 소동의 댜오위서, 하련에서 황모서(구바섬) 및 류큐 열도를 읊는다. 만약 이 댜오위서가 센카쿠 어조도라면, 어조도와 구바도 사이의 좁은 개소에서 대만 해역과 류큐 해역을 상하련으로 나눈 것이 되어, 한시로서는 매우 부자연스럽다. 따라서 상련의 소동의 댜오위서는 대만 북방 도서 중 하나를 가리킨다. 이후 역대 기록에서도 황미서와 적미서가 상호 접근의 경으로 읊어지는 경우가 많고, 그 경우에는 황미가 센카쿠 어조도, 적미가 구바도를 가리켜, 『일본일감』에서 소동의 댜오위서와 구별하는 계통을 계승하고 있다. 이 계통에서는 댜오위서는 소동(대만 부근)의 별도이며, 센카쿠가 아니다.[314] 또한 당시 중국은 대만을 통치하지 않았고, 『명사』에서도 대만은 "동번"으로 외국 열전에 수록되어 있으며, 대만은 외국이었다. 따라서 대만이 중국 영토가 아니었던 이상, 센카쿠 열도가 중국 영토였다는 증거는 되지 않는다(대만이 청에 편입된 것은 1684년).
명나라의 책봉사 곽여림이 『석천산방문집』 및 『중편사류구록』에서 말하는 "적서"의 "계"는, 중국의 경계이며, 류큐의 경계는 구메지마까지이다.[315]1561년(가정 40년), 명나라의 책봉사 곽여림이 상소문[316] 에서 "가정 40년 5월 28일에 양행을 시작하여, 가서 윤5월 3일에 이르러, 류큐 경계에 접한다. 계지는 적서라고 명명되어 있다"라고 기록한다.[317] "적서(세키쇼)"는 현재의 대정섬. 같은 곽여림의 『중편사류구록』에 따르면 윤5월 6일 오각에도 아직 구메지마에 도달하지 못했으므로, 윤5월 3일의 "류큐 경계"는 구메지마가 아닌 적서이다. 센카쿠 최동단의 적서에서 류큐국이 시작된다.[318] 또한 『역대보안』 권30에, 1558년 "류큐 국왕이 천사(책봉사)의 배를 인도하여 류큐국에 도달하게 한다"라고 기록된다. 이 해 푸젠에 도항하여, 1561년의 명나라 책봉사 곽여림을 인도한 것을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역대보안』 권30에, 1560년 "류큐 국왕이 천사(책봉사)의 배를 인도하여 류큐국에 도달하게 한다"라고 기록된다. 이 해 푸젠에 도항하여, 1561년의 명나라 책봉사 곽여림을 인도한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적서라고 명명된다"는 류큐인이 곽여림에게 고한 것으로 생각된다.
명나라 1562년왜구 토벌의 최고 통솔자인 호종헌과 정약증의 저작 『주해도편(츄카이즈헨)』(사고전서)에 있는 "연해산사도"라는 해도에 댜오위타이가 그려져 있으며, "명·청 시대 이래, 중국의 해방의 관할 범위"에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주해도편』 권2 "푸젠사의 일본 항로"에는 "매화 동외산 지 대류큐 나하"라고 있으며, 이는 당시 명나라 정부가 천계령을 내리는 등 연해 해방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며, 방어 대상에 댜오위서, 황미서, 적미서가 포함되어 있음을 밝힌다.『주해도편』의 "푸젠 병방 관고"에 기재된 명나라 외해방의 관할 범위는 모두 푸젠 연안 십수 킬로미터 범위 내이며, 센카쿠는 명확히 범위 밖이다. 대명일통지의 "영토는 해안까지"의 기준에 따르면, 이 연안 도서는 모두 국외이다.[304] 더욱이 『주해도편』의 동시대 여러 사료에서도 명나라의 해방 범위는 연안 도서에조차 도달하지 못하고, 연안 도서는 왜구에게 점령당해 있으며, 척계광 등이 왜구를 격파한 것은 대륙 해안에서이다.[320] 또한 마찬가지로 『연해산사도』에는 "댜오위서"뿐만 아니라 당시 왜구의 근거지였던 대만섬 북단의 산 "계룡산"도 기록되어 있다. 또한 『연해산사도』에서는 화병산(화병서)이 댜오위서보다 동쪽에 적혀 있으며 부정확하다.[321] 『주해도편』 권4 "푸젠 연해 총도"에는 센카쿠 열도도, 더 나아가 대만, 지룽서, 펑자서조차 그려져 있지 않으며, 당시 명은 본토 연안의 방위에도 급급했고, 방위력은 펑후섬에도 미치지 못했으므로, 『연해산사도』에 센카쿠 열도가 기재된 것은 오히려 "적방 구역"임을 나타낸다.[322]
1562년 『주해도편』의 "연해산사도"에서 센카쿠 부근에 보이는 감람산은, 지금의 남소도·북소도이다.[323]『주해도편』의 "연해산사도"에서 센카쿠 부근에 보이는 "감람산"은, 지금의 남소도·북소도가 아니라, 푸젠성 닝더시 산두아오 연안의 섬 "감람서"이며, 센카쿠의 서쪽 170킬로미터 정도의 위치에 있다. "감람산" 곁에는 "주서"도 보이지만, 명의 고서 "녕덕현지"에서는 "감람서" "주서" 모두 푸젠성 닝더현 연안부의 섬 이름으로 기록된다. 또한 "감람서"를 "일환(이치간)"(구형 혹은 타원형)이라고 읊은 한시도 고서에 인용되지만, 센카쿠 열도의 남소도·북소도는 구형이 아니다. 현재에도 푸젠 해안의 닝더시 산두아오에는 "감람서"가 존재하며, 경승지로 여겨진다.[324][325]
valign="top" |1566년 정약증 "강남 경략"[326] 권8 "양산기"에, 항저우만 바깥의 셩쓰 열도 중 양산이 "한화이"(화이를 한함)라고 말한다. 셩쓰 열도가 서쪽의 명나라와 동쪽의 국외의 중간에 위치함을 가리킨다. 또한 이르기를 "진전자, 중국 해산지진처야"(진전이란, 중국 해산의 다하는 곳이다)라고. 진전은 셩쓰 열도의 최동단에 위치하며, 명나라의 최동단이라는 뜻이다.[327] "양산기"는 『무비지』 권209에도 인용되어, 동중국해 전역에 대한 중국의 해방 범위가 연안 도서에 지나지 않음을 종합적으로 나타낸다.[328][329]
valign="top" |1579년(만력 7년)에 성립한 소숭업 "사류구록"에는 "그 나라의 이선, 신으로 기하다, 마땅히 경상에 후할 것이다. 이에 무인(서기 1578)년, 독(한)히 상(거스)하여 이르지 않다"라고 있다. 이 신(신)이란 계절풍의 일이며, 연말의 계절풍을 타고 류큐 배가 푸젠에 내항하여, 다음 해 사절선이 출항할 때까지 "경상"에서 시후하는 것이 통례였다는 뜻이다. 푸젠 해안의 국경에서 류큐 항로로의 출항을 기다리는 것이므로, 센카쿠는 필연적으로 경외이다. 통례이므로 두 번 이상은 전례가 있었을 것이지만, 앞의 두 번은 최고(最古)의 진간(1534년) 및, 두 번째로 오래된 곽여림(1561년)뿐이며, 최고(最古)의 기록에서 이미 국경은 푸젠 해안이었다.[330][331]
1606년의 책봉사인 하자양 "사류구록"에도 구메지마가 보이는 것을 동항한 류큐인이 기뻐하며, 마중을 나온 구메지마의 두목이 해라 수 매를 헌정했음이 기록되어 있으며, 구메지마가 류큐의 경계였다.하자양 "사류구록"에는 "도해 소용의 금은 주기를, 함께 이백 삼십여 냥으로, 이를 경상에 추송하다"라고 있다. 이는 사절선이 류큐로 출항하기 전에, 푸젠의 장관이 국경 부근까지 금은 주기를 배달해 왔다는 기술이며, 여기에서도 국경은 센카쿠가 아닌 대륙의 해안을 가리킨다.[331]
valign="top" |1616년, 명나라의 "상서기행" "동서양고" "맹구당집"에 따르면, 일본에서 대만 정벌을 위해 파견된 사자 명석도우가 표류하여, 푸젠 연안의 동용도(지금의 마조 열도 동단)에 정박했다. 그 때, 명나라의 정찰원에 대해 "대명의 경계에 들어가지 않다"(명나라의 영토에는 들어가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명석은 출항 전에도, 나가사키 대관으로부터 "천조의 일초 일립도 범하는 것을 용서하지 않는다"(명나라의 영토에 들어가지 말라)라고 엄명받았다. 이 사료에서는, 일본이 명나라의 영토를 범하지 않도록, 동용에서 동쪽이 무주지라고 사전 확인한 다음에 도항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332] 당시의 센카쿠 항로는 계절풍을 이용하는 범선의 한 갈래 길이며, 그 서쪽의 출입구에 동용이 위치하므로, 센카쿠 항로 전체를 무주지로 일본 측이 확인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332] 또한 이는 1895년의 센카쿠 편입 시의 메이지 정부의 확인이 결코 하룻밤 사이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며, 중국 측의 "훔쳤다" 등의 주장은 성립하지 않는다.[332]
valign="top" |명나라의 공식 일지 『황명실록』 서기1617년 8월 1일에 수록하는 황제에 대한 상소문에 따르면, 푸젠 해도 부사(연안 경비와 외교의 장관) 한중옹은 나가사키에서 온 사자 명석도우를 체포·심문했다. 한중옹은 푸젠성의 지배 해역이 푸젠 최북단의 대산도에서 최남단의 팽산도까지 여섯 섬 안쪽이라고 명석에게 고했다. 모두 연안 도서이며, 특히 연안에서 약 40km 떨어진 동용도(현재의 마조 열도 동단·동인도)는 센카쿠 항로로의 입구이다. 따라서 센카쿠 항로상의 모든 도서는 명나라 지배 밖이다. 또한 한중옹은, 여섯 섬 선 밖의 바다는 "화이의 공통하는 바"로 하여, 중국에서도 타국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해역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센카쿠 해역은 공해였다.[333][334][335]
시영도 편찬 『무비비서』 권2 "푸젠 방해도"(1621년~1628년)에도 댜오위서, 황미서, 적미서가 포함되어 있었다.시영도 편찬 『무비비서』 권2 "푸젠 방해도"는, 『주해도편』의 "연해산사도"와 동일하다.
정보 연간(1644년~1647년)의 사쓰마번 제작 "류큐국 그림"(시마즈가 문서)은 아마미 제도, 오키나와 본섬, 선도 열도의 3장이 있으며, 미야코섬 북쪽에 있는 산호초까지 그려져 있다. 그러나 그려진 것은 류큐와 36도이며, 댜오위서, 황미서, 적미서는 포함되지 않는다.중국 측 주장은, 중국의 국경을 무시하고, 류큐국의 국경만을 문제 삼고 있다. 류큐 국경까지 모두 중국의 영토이며, 센카쿠도 포함된다는 논법이다. 실제로는 푸젠 연안 및 대만 북동 해안에 중국 국경이 존재했지만, 그들의 논법에서는 완전히 무시하고 있다. 모든 사료에 이 논법을 적용한 단순한 이야기이다. 양쪽 국경의 중간의 센카쿠는 무주지였다.[336]
valign="top" |1662년, 책봉사 장학례는 푸저우에서 출항하여, 그 다음 날 『사류구기』에 "백수일선 있어, 남북으로 서로 엇갈린다. 배자는 분수양을 지나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중외분수의 개소는 푸저우에서 멀지 않아, 청나라의 해역은 거기에서 끝나, 댜오위서는 멀리 청나라의 경외에 있다.
1683년, 청의 책봉사 왕즙은 적서의 동쪽에 "중외지계"가 있었다고 기록한다. 이는 중국과 외국과의 분계이다.[337] 적미서와 구메지마 사이에 "교"가 있으며, 이것이 "중외노계"였다고 설명된다.1683년, 청의 책봉사 왕즙의 "관해집"의 한시의 제목에 따르면, 푸저우를 출항하여, 푸젠 연안 약 15킬로미터의 동사산(마조 열도 중 하나)에서 "민산의 다하는 곳"(푸젠성의 끝)이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거기에서 동쪽의 센카쿠도 "중외지계"도 함께 청국 밖이다.[305][338][339][340] 또한 "중외"는 류큐의 내외를 가리키며, "중외의 계"는 적서의 동쪽의 멀지 않은 해역이며, 역대 사료의 류큐의 서계와 일치한다. 역대 기록에는 류큐 도교의 풍수 관념 "안산" "진산" 등이 실려, 왕즙이 들은 "교"도 류큐 도교의 풍수어이다. "안산"은 풍수혈 앞의 낮고 작은 산으로, 나하의 전방(서방)의 토나키섬(토납기산)을 가리킨다. "진산"이란 "표진"이며, 각 주의 주산 중 바깥에 가까운 것을 가리키며(주례가소에 의거), 황하 문명에서는 바다에 가까운 태산에 비유할 수 있지만, 류큐에서는 국경선 부근의 구메지마(고미산)을 가리킨다. "교"는 성방의 내외의 경계이며, 류큐에서는 영토 영해의 서단 라인이다. 또한 서보광의 시구에 "중산의 대택, 중앙에 거하다"라고 있는 것도 류큐를 중심으로 하는 풍수관념이다.


5. 3. 1895년 일본에 의한 센카쿠 열도 편입의 유효성

일본 정부는 센카쿠 열도가 역사적으로 일본 영토인 난세이 제도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1885년경부터 오키나와현을 통해 현지 조사를 여러 차례 실시했고, 민간인 고가 다쓰시로의 탐험 활동을 통해 센카쿠 열도가 무인도일 뿐만 아니라 청나라의 지배가 미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205] 1895년 1월, 일본은 현지에 표주를 건설하는 것을 각의 결정하여 정식으로 영토에 편입했다. 이는 국제법상 선점의 법리에 따른 정당한 행위이며, 센카쿠 열도는 일본이 청나라로부터 할양받은 "타이완 및 펑후 제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205]

각의 결정 후, 고가는 정부로부터 4개의 섬을 무상으로 대여받아 개발 허가를 받았다. 그는 우오쓰리 섬에서 가다랭이포 공장을 경영했다.[201][203] 우오쓰리 섬에는 부두, 선착장, 저수장 등이 건설되었고, 바닷새 보호, 조림, 시험 재배 등이 이루어졌다.[201] 일본인 이주도 진행되어 바보새의 깃털 채취, 바닷새 박제 제작도 이루어졌다.[201] 가다랭이포 제조는 섬의 기간 산업이 되었고, 최성기에는 99호, 248명의 일본인이 거주했다.[201][202] 센카쿠 열도 주변은 가다랑어, 참치 등 회유어가 많아 가다랭이포 공장은 당시 신선도 유지가 어려웠던 가다랑어를 상품화하기 위한 시설이었다. 기술자는 미야자키현, 고치현 등에서 초빙되었다.[201]

1932년, 고가 다쓰시로의 아들 고가 젠지는 섬들의 유상 매입을 받았다.[202] 그러나 남양군도의 저렴한 제품으로 경영이 어려워졌고, 1940년 연료 부족 등으로 가다랭이포 공장은 폐쇄되었다.[202] 센카쿠 열도는 다시 무인도가 되었고, 섬의 소유권은 1972년 오키나와 반환 후 다른 사람에게 양도되었다.[202] 2012년 우오쓰리 섬, 기타코 섬, 미나미코 섬은 국유지가 되었지만, 구바 섬은 현재도 민유지이다.[204]

중국 정부는 나라 시대 류큐 열도에 대한 책봉사의 보고서인 고문서에 댜오위다오를 목표로 항해했다는 기술이 있다는 점, 에도 시대 일본 학자 하야시 시헤이의 삼국통람도설 지도 채색 등을 근거로 주장한다.[206] 또한 일본 정부가 "은밀히" 영유를 각의 결정하고 국제 사회에 선언하지 않았다는 역사적 경위로 볼 때, 일본의 "영유권 획득"은 국제법상 의미가 없다고 주장한다.

나카가네 가즈쓰구는 중국 측 주장에 대해 "왜 지리적으로 가까운 것이 중국 영토라는 주장으로 연결되는지 알 수 없지만, 일본의 주장은 '무주지 선점의 법리'이다. 센카쿠는 무인도일 뿐만 아니라 청나라의 지배가 미친 흔적이 없음을 신중하게 확인하고 1895년1월 14일에 정식으로 영토에 편입했다"고 반박한다. 그는 "국제법에서의 '무주지 선점의 법리'는 '어느 국가에도 속하지 않는 무주의 토지를 다른 국가보다 먼저 지배함으로써 자국의 영토로 하는 국가가 먼저 선점을 선언하고, 실효 지배를 하고 있다'는 것이며, 센카쿠에 대해서는 압도적으로 중국이 불리하고, 법적 근거가 없다"고 주장한다.[20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센카쿠 열도는 연합국(실질적으로 미국)의 관리하에 놓였다. 중화민국은 1945년10월 25일 타이완 총독부가 통치하던 타이완과 펑후 제도를 접수했고 일본도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으로 최종적으로 포기했다. 타이완은 1945년 이후 중화민국 타이완성이 되었지만, 센카쿠 열도는 포함되지 않았다. 센카쿠 열도를 행정적으로 관할하던 야에야마 지청은 미군 군정 하에 들어갔고, 류큐 열도 미국 민정부 및 류큐 정부가 관할하는 지역에 편입되었다. 미국 공군은 센카쿠 열도 상공에 방공 식별 구역을 설정했다. 이 시기 중화인민공화국 및 중화민국에서 편찬된 지도에서는 센카쿠 열도가 일본 영토로 명기되어 있다.

일본은 1952년 장제스의 중국 국민당 정권과 일화 평화 조약(1972년 실효)을 체결했다. 이 조약 2조는 타이완에서 일본의 영토권 포기를 규정했지만, 센카쿠 열도는 타이완에 속한다고 해석되지 않았다.

1953년 1월 8일자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류큐 열도에 센카쿠 열도가 포함된다고 소개했다.[208]

칭화 대학 국제관계연구원 류장용은 2011년 이후 "이 기사는 일본어 자료를 번역한 무명 자료로, 중국 정부의 입장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반론했다.[209][210] "인민일보" 기사는 오키나와 현민이나 일본인에게도 정확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208]

아라자키 모리히데는 중국이 센카쿠 열도를 중국 "고유의 영토"로 인식하지 않고, 오키나와 주민의 생활권으로 인정했을 가능성을 주장했다.[208] 그는 미군이 센카쿠 열도를 사격 훈련장으로 사용했음에도 중국이 항의하지 않은 것은 부자연스럽다고 지적했다.[208]

미군정 하에서도 1950년대 오키나와 어민들은 센카쿠 열도에 수개월간 체류하며 가다랭이 반제품 제조를 했다.[202] 류큐 대학은 미군정 하에서 6차에 걸쳐 댜오위 섬을 조사했다.[202]

센카쿠 열도 근해는 좋은 어장이라 타이완 어민과의 마찰이 발생했다. 1955년 제3 세이토쿠마루 습격 사건이 발생해 사망자, 행방불명자 6명이 발생했다.

1960년대 타이완 어민이 센카쿠 열도에서 바닷새와 알을 남획하고 밀어하는 사태가 속출했다. 류큐 대학 코라 테츠오 교수는 1963년 조사에서 타이완 어민의 불법 행위를 확인했지만, 실행력 있는 대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211]

류큐 정부는 외교 교섭권이 없었고, 일본 정부도 오키나와 시정권이 반환되지 않아 타이완에 제지할 수 없었다. 미국은 타이완과의 관계를 중시하여 타이완 당국의 단속을 불문에 부쳤다.[212]

1968년 조사에서 타이완 어민의 남획으로 바닷새가 격감한 것이 확인되었다. 아사히 신문 1969년 7월 11일자는 타이완 어민의 불법 입역을 보도하며 제2의 다케시마가 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류큐 정부는 센카쿠 열도가 이시가키시에 속하는 것을 전제로 경찰본부 구난정으로 경비하고,[213] 타이완 어선에 퇴거를 명령했다. 1970년 7월에는 영역 표시판을 건립했다.

1968년 유엔 조사 결과 동중국해 대륙붕에 석유 자원 매장 가능성이 지적되었고, 1970년 대만이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으며 중국도 추종했다. 1969년1970년 유엔 조사에서는 추정 1095억 배럴의 석유 매장량 가능성이 보고되었다. 1970년 7월 대만은 미국 패시픽 걸프사에 주변 해역 대륙붕 탐사권을 부여하고 영유권을 주장했다(1971년 4월 패시픽 걸프사는 미국 국무성 의견에 따라 철수).[214]

이시하라 신타로에토 준과의 공저에서 미국의 석유 메이저 회사가 사토 총리에게 시추를 제안했지만 거절당했고, 그들이 타이베이와 베이징에 "저 섬들은 본래 중국 영토였을 것이다"라고 부추겼다고 기록했다.[215]

1970년 9월 2일 대만 수산 시험소 선박이 댜오위다오에 상륙하여 청천백일기를 게양했다. 일본 정부는 항의했고, 9월 중순 류큐 정부는 청천백일기를 철거하여 미국 민정부에 보관했다.[217]

1971년 2월 미국 거주 대만 출신 유학생들이 반일 데모를 벌였고, 6월 중화민국, 12월 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권을 주장했다. 오키나와 반환 직전이었다. 중국과 대만의 주장은 센카쿠 열도가 중국 측 대륙붕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 고문서에 센카쿠 열도를 표적으로 항해했다는 기술이 있다는 점 등을 근거로 한다. 1970년 이전 지도나 공문서에서는 양국 모두 일본령으로 인식했고, 미국 통치 시대에도 항의한 적이 없기 때문에 유전 발견이 동기라는 것이 분명하다. 국제 판례상 금반언이 성립할 가능성이 지적된다.

중국에서 유포되는 설에 따르면,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국교 수립 조약에 분노한 중화민국이 방해 행위로 영토 주장을 제출했고, 중화인민공화국 측(저우언라이)도 같은 날 영유권 문제 주장을 시작했다. 일본 측 교섭 담당이었던 후쿠다 다케오, 오히라 마사요시는 "유예하여 후세에 맡긴다"는 모호한 상태로 국교 수립을 타결했다고 한다. 류코쿠 대학 니 지민이 역사적 경위를 저술했다.[218][219][220]

중국과 인도의 사례(중인 국경 분쟁)에서는 1954년 저우언라이와 네루의 평화 5원칙 합의 후, 1962년 11월 대규모 침공으로 영토를 확장했다.[221] 쿠바 미사일 위기 속 중국의 계산된 행동이었다.[222]

군사적 우위를 확립한 후 군사력을 배경으로 국경선을 획정한다는 중국의 전략은 중소 국경 분쟁 등에서도 보이며, 동중국해남중국해에서 현재도 진행 중이다. 중일 국교 정상화 당시 중국 측 영토 유예론은 군사적 우위 확보까지 유예를 얻기 위한 방편이었다. 2011년 현재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력은 아시아 최강이며, 군비 경쟁을 유발하고 있다. 센카쿠 문제 현저화는 중국 군사력 우위가 가져온 것이다.[223][224]

1968년 지하 자원 발견 후 중국과 대만은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1970년 중화인민공화국 사회과 지도에서 "센카쿠 열도"라고 기재되었고 국경선도 센카쿠 열도와 중국 사이에 그어져 있었다.[225] 1971년 판에서는 "댜오위다오"로 기재되었고 국경선도 일본 측으로 꺾여 있다.

1895년 오키나와현 편입에 대해 당시 청나라는 불만을 제기하지 않았고, 센카쿠 열도는 무시되었다.[200] 일본 영토가 된 후에도 국제 사회에서 이의 제기가 없었다.[226] 태평양 전쟁 종결 시까지 센카쿠 열도는 일본 영토로 취급되었다.[226] 대일 강화 단계에서 미국, 소비에트 연방, 중화인민공화국도 오키나와 반환을 지지했고, 오키나와가 일본이라는 것을 의심하지 않았다.[208]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센카쿠 열도는 오키나와의 일부로 취급되어 포기 대상이 되지 않았다.[227] 미국은 1972년까지 센카쿠 열도 시정권을 행사했다.[227] 1968년부터 1972년 사이 센카쿠 열도가 대립 상황을 낳게 되었다.[228] 일본 외무성은 센카쿠 열도가 시모노세키 조약에 근거하여 청나라로부터 할양받은 "대만펑후 제도"에 포함되지 않고, 역사적으로 일본 영토 난세이 제도의 일부이며, 중국과 대만의 주장은 석유 자원 매장 사실을 알고 난 후의 주장이므로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을 유지한다.[226]

1978년 4월 기관총으로 무장한 100척이 넘는 중국 어선이 영해 침범을 반복했다.[229] 후쿠다 다케오 내각이 항의하자 중국은 "우발적"이라고 응답했다.[229] 1978년 8월 덩샤오핑은 "다시는 앞서와 같은 사건을 일으키지 않겠다"라고 약속했고, 후쿠다 내각은 중일 평화 우호 조약에 조인했다.[229]

덩샤오핑은 "우리 세대는 지혜가 부족하다. 다음 세대는 더 지혜가 있을 것이다"라고 발언했다.[230] 실질적으로 유예하고 다음 세대에 맡기면서 장기간 센카쿠 열도 문제를 국경 문제로 고정화하고, "다음 세대" 판단 전에 기정 사실을 쌓아두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230] 이것이 중국 측 의도라고 생각된다.[230]

후나바시 요이치는 "중국은 대륙 국가(랜드 파워)이고, 석유가 나오기 어렵다. 그래서 해양 국가(시 파워)인 일본이 가진 센카쿠 열도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고 한다. 중국인 조사에서 일본인에게 악인상을 갖는 이유로 "댜오위다오 영유권 주장"이 1위였다.

결정적 기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쁘레아 비헤아 사원 사건에서는 분쟁 발생 이후 한쪽 당사국 실효적 지배가 영유권 주장의 유리한 조건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분쟁 발생 시점을 결정적 기일(Critical date)이라고 하며, 국제 재판에서 영토 분쟁 심리 시 어떤 사실에 국제법 원칙과 규칙을 적용할 것인가가 중요해진다. 분쟁 당사국은 자국에 유리한 행동, 조치를 실행하므로 시간적 범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중국 측 영유권 주장 이후 일본 실효적 지배나 중국, 대만 주권 행사 행동은 인정되지 않는다. 국제사법재판소 판례(1953년 망키에 에클레오 사건)도 분쟁 발생일 이후 분쟁 당사국 행동을 중시하지 않는다. 결정적 기일 이전 분쟁 당사국 행동이 심의 대상이다. 클리퍼턴 섬 사건이 재판례이다.

일본 측 주장에 따르면 센카쿠 열도는 중국에 속한 적이 없으며, 선점을 영유권 근거로 삼는다。센카쿠 열도 서쪽에는 1461년부터 1871년까지 역대 중국 왕조 영토선이 존재했으며, 센카쿠는 일관되게 영토 외였다.

국제법상 영역 권원으로서 선점은 권원 취득 사실이 불분명하여 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며, 1928년 팔마스 섬 판례에서는 "영역 주권의 지속적이고 평화로운 행사"가 유효하다고 판결했다。동그린란드 재판에서 "정착에 적합하지 않은 무인 지에서는 타국이 우월한 주장을 하지 않는 한 미약한 실효 지배라도 유효하다"고 판시했으며, 최근 무인도 판례(리기탄·시파단 섬 등)에서도 지지받고 있다。망키에·에클레오 판례(1953년)에서는 중세 사정에 근거한 간접적 추정은 실효 지배로 인정되지 않았고, 해당 지역 과세, 재판 기록 등 사법, 행정, 입법 권한을 행사한 직접적인 증거가 필요하다고 판결했다。

베이징 정부·타이베이 정부·중국 영토론자의 주장일본 정부·일본 영토론자의 주장
홍무 5년(1372년)에 푸젠 36성이 황제로부터 류큐국을 하사받았다. 그 항로상에서 반드시 센카쿠를 경유했을 것이며, 발견자는 명나라 사람이다.센카쿠 해역에서 조종한 류큐인은 민인(푸젠인)의 후손인 "36성"이지만, 『황명실록』 가정 26년(1547년)의 기록에 따르면 일찍부터 류큐국에 입적했다. 36성의 조상은 홍무 25년(1392년)에 류큐국에 입적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이전인 홍무 5년(1372년)부터 거의 매년 류큐국은 푸젠까지 왕복 도항하는 배를 파견했으며, 센카쿠 항로를 토착 류큐인이 먼저 알고 귀화인 36성에게 가르쳐 주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류큐인이 중국인보다 먼저 센카쿠 열도를 발견했다는 역사는 분명하다.
북소도, 남소도는 "설포란"이라고 불리며, 지지에 기재되어 있다."설포란"은 대만의 화롄인 것은 사학의 상식이며, 센카쿠와는 전혀 무관하다. 북소도, 남소도, 오키노키타이와, 오키노미나미이와, 비세에 대해서는 중국의 고문서에 기재조차 없고, 일본의 무주지 선점은 확정되어 있다.
1403년(명대)에 저술된 『순풍상송』이라는 서적에 댜오위타이의 문자가 있다.『순풍상송』 원고의 권두 부기에는 서양 항로만 실려 있으며, 전반부의 서양 부분은 1403년에 성립했고, 후반부의 동양 부분은 1570년 이후에 성립하여 나중에 부가되었다. 후반부의 말미에 실리는 센카쿠 항로는 1403년과는 무관하다.『순풍상송』 후반부에는 "나가사키에 포르투갈인이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므로, 『순풍상송』 후반부는 나가사키가 개항하여 포르투갈인이 거주하기 시작한 1570년경 이후에 저술된 서적이다. 또한 『순풍상송』에 기록된 센카쿠 항로는 중국의 일반적인 항로와는 다른 류큐인에게 특유한 항행이므로, 이 항해의 기술은 류큐 측 기록에 의존하고 있다.
valign="top"|1461년의 명나라 『대명일통지』에는 푸젠성, 저장성 등 각지의 동쪽 끝이 "해안까지"라고 명기되어 있으며, 명나라의 동쪽 끝은 해안까지이다. 또한 류큐의 서쪽 끝은 아카시마(지금의 대정섬)까지라고 명나라의 책봉사·곽여림이 명나라 황제에게 상소하고 있다. 동쪽 끝과 서쪽 끝 사이는 무주지이다.
1534년의 책봉사 진간의 보고서 『사류구록』에 "댜오위타이를 이정표로 항행했다"라는 기술이 있다. 이처럼 명나라 시대에 이미 중국인이 댜오위타이(센카쿠 열도)의 존재를 알고 있었음이 분명하며, 댜오위타이를 처음 발견한 것은 중국인이다(이노우에 기요시). 같은 『사류구록』에 "평가산을 지나, 댜오위서을 지나, 황모서를 지나, 적서를 지나", "고미산〔구메지마〕이 보였지만, 즉 류큐에 속한다"라고 있으며, 또한 구메지마에는 류큐 측의 관리가 마중을 나왔다. 이는 구메지마에서 류큐의 영내였음을 밝히고 있으며, 거기에서 이서의 센카쿠는 중국 영토이다(무라타 타다요시).최고(最古)의 기록인 진간을 태운 책봉선은 조공하러 온 류큐인의 선도와 조종에 의해 운용되었으며, 이 사실을 진간은 출항 전에 매우 기뻐했으며("진간의 삼희"라고 한다), 중국이 발견하기 전에 류큐인이 발견하여 항로로 사용했다는 증거이다. 구메지마에서 관리가 맞이한 것은 류큐국의 서쪽 끝을 나타내며, 한편 명나라의 동쪽 끝은 "대명일통지" 등 여러 사료에 기록된 대로 대륙 연안이었다. 중간의 센카쿠는 무주지이다.
1556년의 정순공 『일본일감』에 "댜오위서, 소동소서也。"라고 있으며, 소동은 대만이다.『일본일감』의 "소동"은 대만섬이 아니라, 푸젠에서 본 근동 해역(대만을 포함)이다. 『일본일감』 중에서 대만섬은 "소동도" "소동지섬"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문 지지 용어에는 대원소근이라는 법칙성이 있으며, 대류큐는 오키나와, 소류큐는 대만섬, 대서(대서양)는 유럽 부근, 소서(소서양)는 인도 부근, 대동(대동양)은 일본 부근이다. 소동=근동=소동양의 해역에는 댜오위서뿐만 아니라 요나구니섬도 포함될 수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댜오위서가 대만 부속 도서였다는 증거가 되지 않는다. 애초에 소동·소동양은 대만이 중국의 영역 외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valign="top"|valign="top"|


5. 4.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전까지의 관할

1920년 5월 20일, 중화민국 주 나가사키 총영사 펑몐은 푸젠성 후이안현 어민 조난 사건에 대해 이시가키촌 촌장에게 감사장을 보냈다. 이 감사장에는 "푸젠성 후이안현 어민 31명이 폭풍우로 인해 조난당하여 일본 제국 오키나와현 야에야마 군 센카쿠 열도의 화양도로 표류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380][389]

1937년부터 1940년까지 타이베이주와 오키나와현 사이에 센카쿠 열도 어업권을 둘러싼 분쟁이 있었다. 그러나 이는 어업권이나 일시적인 방위 담당 범위에 관한 문제였을 뿐, 행정 구역상 센카쿠 열도는 일관되게 오키나와현에 속해 있었으며, 대만에 속했던 적은 없다.

중국 측은 1944년 도쿄 지방 법원이 센카쿠 열도가 타이베이주 관할 하에 있다는 판결을 내렸다고 주장하지만, 그러한 판결은 기록에서 찾아볼 수 없다.

5. 5.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후 처리, 조약, 항의 시기 관련 쟁점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 논의 과정에서, 미국 측 대표 존 포스터 덜레스는 일본이 류큐 열도에 대한 "잔여 주권"을 갖는다는 개념을 제시했다.[75] 1957년 6월,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미일 정상 회담에서 일본 총리 기시 노부스케에게 류큐에 대한 "잔여 주권"은 "미국이 일정 기간 동안 그 권리를 행사하고 그 후 주권이 일본으로 반환될 것"을 의미한다고 확인했다.[75] 1962년 3월,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류큐에 대한 행정 명령에서 "나는 류큐를 일본 본토의 일부로 인정하며 자유 세계의 안보 이익이 일본의 완전한 주권 회복을 허용할 날을 고대한다"고 말했다.[75] 미국은 센카쿠 열도를 류큐에서 분리하려는 조치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잔여 주권" 적용은 센카쿠 열도에도 해당되는 것으로 보였다.[75]

1971년 5월, 미국 중앙정보국(CIA) 보고서는 "센카쿠에 대한 일본의 주권 주장은 강력하며, 소유권에 대한 입증 책임은 중국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77] CIA는 1968년경 인근 대륙붕에서 잠재적인 석유 매장량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일본, 중국, 대만 간의 섬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77]

1971년 6월 7일,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오키나와 반환 합의 직전, 헨리 키신저 국가 안보 보좌관과의 대화에서 센카쿠 열도에 대한 일본의 "잔여 주권"을 확인했다.[78] 그러나 1971년 10월 20일, 미국 국무 장관 윌리엄 로저스는 미국 의회에 보낸 서한에서 "미국은 그 섬들에 대한 행정 권한을 일본에 반환하는 것이 어떤 근본적인 주장도 침해할 수 없다고 믿는다"고 밝혔다.[79] 여러 전문가들은 1971~1972년 닉슨의 중국 방문으로 절정에 달한 백악관의 대중국 접근이 이러한 정책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75]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후 처리와 관련하여, 현재 대만을 통치하는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 모두 연합국과 일본 간의 일본국과의 평화 조약(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 체결에 참여하지 못했다. (중화민국과는 이후 일화평화조약을 체결).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이 점을 들어 조약의 합법성과 유효성을 인정하지 않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반면 일본 정부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후 처리는 타당하며, 센카쿠 열도는 1895년 1월 14일 편입 이후 일관되게 일본이 통치해 온 고유 영토이며, 이 사실은 국제 사회에서도 인정받고 있다고 주장한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후 처리, 조약, 항의 시기에 관한 쟁점
중국의 주장일본의 주장
1943년 카이로 선언은 일본이 중국 동북부(만주), 대만, 펑후 제도 등을 반환한다고 규정했다.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는 이 지역에 포함되므로 반환되어야 한다.카이로 선언상 센카쿠 열도가 대만 부속 도서에 포함된다고 연합국이 인식했다는 증거는 없다.[380] 또한, 전쟁의 결과로서 영토 처리는 평화 조약에 기초한다. 일본 영토를 확정한 것은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이며, 카이로 선언 등은 최종적인 법적 효과가 없다.[380]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에 참여하지 않았으므로 이 조약에 구속되지 않는다("비합법적이며 무효"의 입장).1895년 1월 14일 편입 이후, 센카쿠 열도는 남서 제도 일부이며, 시모노세키 조약에 의해 할양된 대만 및 펑후 제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센카쿠가 일본 영토(오키나와현)임을 보여주는 것이며, 중국 주장과 무관한 사실이며 중일 공동 성명의 전제이다. 또한,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1970년대까지 센카쿠 열도에 대해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고, 이에 대한 설명도 없다.[380]
미국 국무성 매클라키는 "미국이 반환한 것은 오키나와의 통치권이지만, 미국은 통치권과 주권이 별개라고 생각한다. 주권에 대해 의견 충돌이 발생할 경우 당사국이 협의하여 해결해야 한다"라고 발언했다.중국이 센카쿠 열도를 대만의 일부라고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은,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 제3조에 의거하여 미국의 통치하에 놓인 지역에 동 열도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에 대해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도 분명하다. 또한, 1946년의 "연합군 최고 사령관 총사령부 각서" 667호 (SCAPIN667)에 동 열도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또한 미국 통치하의 1950년대부터 미군이 센카쿠 열도의 일부(다이쇼 섬, 구바 섬)을 사격 폭격장으로 이용했지만 중국 측은 아무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380] 또한, 미국은 미일 안보 조약 제5조에 근거하여 1972년의 오키나와 반환 이후, 센카쿠 열도는 일본의 통치 하에 있으며, 미일 안보 조약은 센카쿠 열도에도 적용된다고 명확히 하고 있다.[380] 1971년의 CIA 보고서에서도 "센카쿠 열도의 주권에 대한 일본의 주장은 강력하며, 그 소유의 입증 책임은 중국 측에 있다"라고 보고되었다.[380]
valign="top"|1952년 일화평화조약 협상 과정에서도 센카쿠 열도 영유권은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 이는 센카쿠 열도가 일본 영토임이 당연한 전제였기 때문이다.[380]
1954년 2월 15일 참의원 수산위원회 다테가와 무네보 설명원은 "헬리 연습장이라고 하는 것은, 저희가 어디인지 확실히 모르겠지만, 짐작건대, 낚시 섬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고, 1954년 3월 26일 참의원 재무위원회의 이세키 유지로 정부 위원은 "저도 그 점에 대해서는 자세한 내용을 모릅니다"라고 말했는데, 이 무렵, 일본 정부도 영토 인식은 이 정도였다.[288]1953년 1월 8일인민일보』의 "류큐 열도에 있어서 사람들의 미국 점령 반대의 싸움" 기사에서 "류큐 열도는 센카쿠 열도를 포함한 7개의 섬으로 구성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380] 또한, 문장에서는 센카쿠 열도로 기재되어 있으며, 중국 이름인 댜오위다오가 아니다.[389]
지도에 기재된 것만으로는 당시 중국 정부가 일본의 센카쿠 열도에 대한 지배를 인정하고 있었다는 근거가 될 수 없으며, 동 지도의 주석에는 "중국과의 국경선의 부분은, 항일 전쟁 이전의 지도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라고 적혀 있다.[380]1958년 중국의 『세계 지도집』(1960년 재판)에서는 "센카쿠 군도"를 오키나와의 일부로 취급하고 있다.[380] 또한, 중국 측이 지적하는 주석 원문은 "본 지도집 중국 부분의 국경선은 해방 전 신고(중국의 신문)의 지도를 기초로 작성"이라고만 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어느 부분이 해방 전의 것인지는 불분명하며, 애초에 이 지도에서는 대만을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로 기재하고 있어, 대만의 부속 도서라고 주장하는 센카쿠 열도에 관한 기술만을 대만이 일본의 식민지였던 시대의 표기로 남기는 것은 부자연스럽다.[380]
1969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의 측회총국이 간행한 "분성지도"는 센카쿠 군도를 틀 밖으로 튀어나오게 그려 놓았고, 차이나의 영유를 나타낸다. 이시가키 섬은 일본의 영토이므로 틀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고 잘려 있다.(우한 대학교의 대학원생 류원샹의 설, 외교부가 채용.)[395]1969년의 측회총국도는, 해저 유전 정보가 세상에 나온 이후에 제작되었으며, 틀 밖으로 튀어나온 것은 영유의 근거가 될 수 없다.[396] 또한, 댜오위다오 열도가 아닌 센카쿠 군도로 명기하고, 일본식으로 아카오 섬까지 센카쿠 군도에 포함시키고 있다. 게다가 댜오위다오가 아닌 우오쓰리 섬으로 명기하고 있다.[397]
1885년부터 1895년에 걸쳐 계획된 구바 섬·우오쓰리 섬 표항 건설은, 시모노세키 조약에서 대만을 얻었기 때문에 잊혀졌고, 이시가키시가 지적 표시를 위한 표주를 세운 것은 1969년 5월 10일, 또한 류큐 정부의 영유 선언은 1970년 9월 10일이며, 석유가 산출된다는 소식을 듣고 일본 정부는 서둘러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288]중국 정부와 대만 당국은, 동중국해 대륙붕의 석유 개발 움직임이 표면화된 1970년에 들어선 이후, 처음으로 센카쿠 열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380] 석유 목적임이 분명하며, 이는 1972년 7월 28일과 9월 27일의 저우언라이 발언에서도 분명하다.
일본은 실효 지배하고 있지 않다. 현재도 무인도이다.오키나와 반환 후, 영해 내에서 불법 조업을 하는 외국 어선의 단속 등 경비·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민유지인 구바 섬은 토지 소유자에 의한 고정 자산세의 납부, 다이쇼 섬이나 우오쓰리 섬 등은 국유지로서의 관리를 하고 있다. 구바 섬과 다이쇼 섬은 1972년 이후, 미일 지위 협정에 의거하여 연습용지로 미국에 제공하고 있다. 그 외, 1979년에는 오키나와 개발청에 의한 이용 개발 조사(가설 헬리포트 설치 등), 1981년의 오키나와현에 의한 어장 조사, 1994년의 환경청의 알바트로스 항공 조사 등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실효 지배하고 있다.[380]
일본의 센카쿠 열도에 있어서의 입장과 방식은,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의 승리의 성과에 대한 공공연한 부정이며, 전후 국제 질서와 유엔 헌장의 취지·원칙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다.[380]일본에 의한 센카쿠 열도의 영유권 취득은 제2차 세계 대전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380] 또한,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에 근거한 전후 처리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있는 중국이야말로 전후 국제 질서에 대한 심각한 도전을 하고 있다.[380]


6. 미국의 입장

미국은 센카쿠 열도 (댜오위다오) 분쟁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표방하면서도, 미일 상호 방위 조약의 적용 대상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는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에서 센카쿠 열도가 가지는 중요성을 반영한다.

미국은 센카쿠 열도의 영유권 문제에 대해서는 특정 국가의 편을 들지 않는다는 공식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센카쿠 열도가 일본의 실효 지배 하에 있기 때문에, 미일 상호 방위 조약 제5조의 적용 대상이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즉, 센카쿠 열도에 대한 무력 공격은 미국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되어 미국의 군사적 대응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미국의 입장은 중국의 해양 진출을 억제하고, 동아시아 지역에서 미국의 동맹국인 일본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특히, 미국의 대한민국 정책과도 연관되어 있는데, 센카쿠 열도 분쟁은 동아시아 지역의 안보 불안을 야기하여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7. 군사적 긴장 고조

센카쿠 열도동중국해에 위치한 섬들로, 일본 요나구니섬에서 160km, 대만일본 이시가키섬에서 170km, 중국에서 330km 떨어져 있다. 최근 남중국해의 영토 분쟁과 더불어 중국 해군의 급격한 증강으로 인해 이 지역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2012년 9월, 일본의 센카쿠 국유화 조치 이후 중국 해군 호위함 2척이 센카쿠 열도 서북쪽 80해리 해상에 처음으로 접근했다.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확인하지 않았지만, 일본의 순시선 배치 등에 대한 대응 조치로 보인다.

2016년 6월, 중국 해군쟌카이 I급 호위함 1척이 센카쿠 제도 구바섬 북동쪽의 접속수역에 처음으로 진입했다. 해상자위대의 아사기리급 호위함 세도기리호가 이를 확인했다. 러시아 해군우달로이급 구축함 3척도 구바 섬과 다이쇼 섬 사이의 접속수역에 진입했다가 빠져나갔다. 접속수역영해 외측 12해리(약 22km)의 공해로, 외국 군함의 진입은 국제법상 문제가 없으나,[429] 침략전쟁의 징후로 해석될 수 있다.

2017년, 일본은 중국 해경선에 대응하기 위해 4000t급 호위함 (모가미급 호위함) 22척을 건조해 배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2020년, 중국 해군이 공인한 잡지 현대 함선에는 센카쿠 충돌 시나리오가 실렸다. 이는 중국이 일본이 지배 중인 센카쿠 열도를 점령한다는 내용이다. 중국 해군은 2000년에는 VLS를 1기도 보유하지 않았으나, 2020년에는 2000기를 넘어 일본(1500기)을 앞섰다.[430]

2014년, 미 해병대 제3원정군 사령관 존 위슬러 중장은 중국이 센카쿠 열도를 공격하면 방어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이에 중국은 중국 인민해방군 웹사이트를 통해 "한국 전쟁에서 당신의 군대를 격파한 중국군에 대한 존경심을 표하십시오."라고 응답했다.[179]

2016년, 러시아 군함 3척과 중국 해군 호위함 1척이 센카쿠 열도 주변 12해리 영해 경계에서 수 시간 동안 항해했다. 일본은 중국 대사를 소환하여 군함 철수를 요구했다. 이는 중국 해군이 분쟁에 연루된 첫 번째 사례였다.[180][181][182]

2016년 8월, 중국 어선이 우오쓰리 섬에서 65km 떨어진 해상에서 그리스 화물선과 충돌하여 침몰했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선원 6명을 구조했고, 중국 측은 감사를 표했다.[184]

2021년 2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 해경에 무력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새로운 법을 통과시켰다.[174]

2022년 6월 30일, 일본 방위성은 일본 해양 연합 공사(JMU)가 일본 해상자위대(JMSDF)를 위해 해상 초계함(OPV) 12척을 건조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동중국해의 센카쿠/댜오위다오를 포함하여 남서부 류큐 열도 주변의 해상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176][177]

2012년 7월 11일, 중국 국토자원성 국가해양국 소관의 해양환경감시감측선대(해감총대)의 쑨수셴 부총대장은 "만약 일본이 댜오위다오(尖閣諸島, 센카쿠 열도) 문제로 도발을 계속한다면, 일전을 불사하겠다"라고 발언했다.[419]

같은 해 7월 13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논설에서, 노다 정권의 센카쿠 열도 국유화 방침을 받아 "댜오위다오 문제를 제어할 수 없게 될 위험이 있다", "일본 정치인들은 그 각오가 되어 있는가"라고 무력 충돌로 발전할 가능성을 시사했다.[420]

2012년 시점의 중일 군사력 비교와 관련하여, 전 외교관이자 방위대학교 교수를 지낸 손자키 아키라는 중국이 압도적으로 우위에 있어 일본이 패배할 것이라고 주장한 반면,[421] 전 중국 해군 장비기술부장 정밍은 "현재 중국 해군은 일본의 해상보안청, 해상자위대의 실력에 미치지 못한다"라고 발언했다.[422]

2012년 8월 20일, 미국의 외교 전문지 『포린 폴리시』에 발표된 해군대학 교수 제임스 R. 홈스(James R.Holmes)의 기사에서는[423] 중일이 센카쿠 열도 해역에서 군사 충돌할 경우, 미군이 참여하지 않는 대규모 중일 해전에서도 일본 측이 유리하다고 분석했다. 홈스의 시뮬레이션 분석에서는 일본이 병기나 요원의 질에서 상위에 있으며, 일본이 센카쿠 및 주변 섬에 미사일을 지상 배치하면 해양전에서도 유리하게 된다고 했다.[424]

2013년 8월 23일, 육상자위대 중부방면대 총감으로 취임한 호리구치 히데토시 육장은 센카쿠 열도에서의 중국의 움직임 등을 염두에 두고 "순수한 평시라고는 말할 수 없다"는 엄격한 견해를 보였다.[426]

7. 1. 중국의 센카쿠 해역 침범 행위

2012년 일본 정부의 센카쿠 열도 국유화 조치 이후, 중국은 센카쿠 해역에 대한 침범 행위를 ক্রমশ 늘려가고 있다. 이는 단순한 영유권 주장을 넘어, 동중국해에서의 군사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2012년 9월, 중국 해군 호위함 2척이 센카쿠 열도 서북쪽 80해리 해상에 처음으로 접근했다. 2016년 6월에는 중국 해군 호위함 1척이 처음으로 센카쿠 제도 구바섬 북동쪽 접속수역에 진입했다.[429] 이는 영해 바깥쪽 12해리(약 22km) 범위의 공해를 의미하며, 국제법상 문제는 없지만, 침략전쟁의 징후로 해석될 수 있다.

2019년 12월에는 중국 관공선의 센카쿠 열도 인근 진입이 11월까지 약 1,000척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2020년 7월에는 중국 해경국 선박 4척이 센카쿠 열도 주변 접속수역을 이동하며 96일 연속 접근 기록을 세웠다.

2021년 2월, 중국은 중국 해경에 무력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법을 통과시켜 긴장을 고조시켰다.[174] 같은 해 2월 6일, 중국 해경 선박은 이 법 통과 후 처음으로 일본이 관리하는 센카쿠 열도 인근 해역에 진입했다.[175]

다음은 일본 정부의 센카쿠 열도 국유화(2012년) 이후, 중국의 센카쿠 해역 침범 현황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접속 수역 진입 횟수영해 침범 횟수
2008년2회2회
2009년0회0회
2010년46회2회
2011년12회2회
2012년428회73회
2013년819회188회
2014년726회88회
2015년709회95회



2023년에는 중국 해경국 선박의 센카쿠 열도 주변 접속 수역 침입 횟수가 과거 최다인 352회에 달했다.

이러한 중국의 계속되는 센카쿠 해역 침범은 동중국해에서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한일 관계, 미중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7. 2. 방공식별구역 설정

2013년 11월 23일, 중국 국방성은 동중국해에 방공식별구역(ADIZ)을 설정한다고 발표했다. 이 구역에는 센카쿠 열도가 포함되었으며, 일본이 이미 설정한 방공식별구역과 겹치는 부분이 있어 긴장이 고조되었다.[427][428] 중국은 "잠재적인 공중 위협을 방어"하기 위해 이 구역을 설정했다고 밝혔다.[164]

이에 대해 일본은 "매우 위험하다"며 반발했고, 미국도 척 헤이글 국방장관이 중국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하며 분노를 표했다.[427]

250px


같은 날, 중국은 전투기를 포함한 공군기를 보내 방공식별구역 순찰 임무를 수행했다.[164] 2013년 11월 26일, 미국은 해당 지역을 국제 해역 및 영공으로 선언하고, B-52 폭격기 두 대를 문제없이 통과시켰다. 미국 군 대변인은 "미군은 동맹국 및 파트너와 함께 이 지역에서 비행 작전을 계속 수행할 것"이며, "비행 계획을 등록하지 않고, 트랜스폰더, 무선 주파수 및 로고를 식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166]

중국의 방공식별구역 설정 이후, 미국의 B-52 항공기와 한국 및 일본 군용기가 이를 위반했다.[167] 미국은 자국 상업 항공사에 이 지역에 대해 주의할 것을 경고했고,[168] 중국은 "방어 조치"로서 해당 지역에 전투기를 투입해 순찰 임무를 수행했다.[169][170]

8. 센카쿠 열도 영유권이 미치는 문제

센카쿠 열도는 동중국해에 위치하며, 일본 요나구니섬에서 160km, 대만과 일본 이시가키섬에서 170km, 중국에서 330km 떨어져 있다. 센카쿠 열도 영유권 문제는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친다.


  • 배타적 경제 수역(EEZ) 경계
  • 센카쿠 열도가 중국 영토일 경우: 오키나와 해구까지 중국의 권리가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중일 중간선을 기준으로 하는 일본의 입장과 충돌한다. 또한, 현재도 센카쿠 열도 북방에서 중국 어선의 남획으로 인한 수산 자원 고갈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중국의 EEZ 확장은 자원 고갈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427]
  • 센카쿠 열도가 일본 영토일 경우: 유엔 해양법 조약의 규정에 따라 중일 중간선을 기준으로 EEZ를 획정한다.


1997년 중일 어업 협정에서 센카쿠 열도는 공식적으로 중국의 배타적 경제 수역에서 제외되었지만, 일본은 의향서에서 중국 어선의 어업 활동을 막지 않겠다고 설명했다. 일부 중국 측에서는 이를 일본의 배타적 어업권 주장에 대한 포기로 해석하기도 한다.[185] 2014년에는 대만과 일본이 센카쿠 열도 주변 해역에서의 어업에 관한 합의에 도달했다.[186]

9. 해결 노력과 전망

1972년, 대만과 일본의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을 때, 양국은 이 영토 분쟁을 제쳐두는 이유를 찾았다.[95] 덩샤오핑은 "이 문제를 10년 정도, 얼마 동안 제쳐두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우리 세대는 이 문제에 대해 공통 언어를 찾을 만큼 현명하지 않다. 우리 다음 세대는 분명히 더 현명할 것이다. 그들은 확실히 모두에게 수용 가능한 해결책을 찾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96]

1969년, 유엔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ECAFE)는 센카쿠 열도 인근의 잠재적인 석유 및 가스 매장량을 확인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여러 차례의 양자 회담에서 분쟁 해역의 해저 자원에 대한 공동 개발을 고려했으나, 협력적인 전략을 개발하려는 노력은 실패했다.[97]

2008년에는 자원 공동 개발에 대한 예비 합의가 이루어졌지만, 이 합의는 섬들과 멀리 떨어진 지역만을 포함했다.[98] 2009년에는 핫라인 설치에 합의했고 (2010년에는 군사 핫라인), 이 둘 다 시행되지 않았다.[99]

일본 정부의 센카쿠 열도 국유화 이후, 해당 해역에서 중국의 행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다음은 관련 데이터이다.

연도접속 수역 진입 횟수영해 침범 횟수
2008년2회2회
2009년0회0회
2010년46회2회
2011년12회2회
2012년428회73회
2013년819회188회
2014년726회88회
2015년709회95회



중국 해경국 선박은 태풍이 불어오는 날을 제외하고 거의 매일 센카쿠 열도 주변 접속 수역에 진입했으며, 그 횟수는 과거 최다인 352회에 달했다.

센카쿠 열도 영유권은 다음과 같은 문제에 영향을 미친다.


  • 배타적 경제 수역 경계
  • '''센카쿠 열도가 중국 영토일 경우''': 오키나와 해구(난세이 제도 북서쪽 해역에 있는 해분)의 가장자리까지 중국의 권리가 미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수산 자원 고갈 문제도 심각하다. 현재도 센카쿠 열도 북방의 중일 어업 협정으로 조업을 허가받은 중국 어선의 남획이 진행되고 있어, 어업 자원 고갈이 우려된다.[427]
  • '''센카쿠 열도가 일본 영토일 경우''': 중일 중간선 - 유엔 해양법 조약의 규정에 따른 해결책으로 결론이 난다.

참조

[1] 뉴스 Japanese party urges Google to drop Chinese name for disputed islands http://articles.cnn.[...] CNN 2010-10-14
[2] 뉴스 Look Out for the Diaoyu Islands http://kristof.blogs[...] 2012-08-15
[3] 뉴스 SENATE ENDORSES OKINAWA TREATY – Votes 84 to 6 for Island's Return to Japan – Rioters There Kill a Policeman Senate, in 84 to 6 Vote, Approves the Treaty Returning Okinawa to Japan – Front Page https://www.nytimes.[...] 2012-08-20
[4] 뉴스 Q&A: China-Japan islands row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9-11
[5] 서적 Territorial disputes among Japan, Taiwan and China concerning the Senkaku Islands google books
[6] 웹사이트 U.S. says Senkaku Islands fall within scope of Japan-U.S. security treaty http://english.kyodo[...] 2012-08-20
[7] 웹사이트 China protests over Japanese activists' visit to disputed island http://www.theguardi[...] 2012-08-19
[8] 서적 Sovereign Rights and Territorial Space in Sino-Japanese Relations University of Hawaii Press
[9] 웹사이트 Q&A on the Senkaku Islands http://www.mofa.go.j[...]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11-01-29
[10] 문서 Article II{b}, Treaty of Shimonoseki
[11] 뉴스 Peking Claims Disputed Oil-Rich Isl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0-12-06
[12] 뉴스 Okinawa Islands Returned by U.S. to Japanese Rule; Agnew, in Tokyo, Declares 'Last Major Issue' of the Pacific War Is Resolved U.S. Returns Okinawa to Japanese Rul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2-05-15
[13] 서적 The dragon roars back : transformational leaders and dynamics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3-01-06
[14] 서적 Territorial Disputes among Japan, China and Taiwan concerning the Senkaku Islands (Boundary & Territory Briefing Vol.3 No.7) https://books.google[...] 2015-11-15
[15] 서적 Territorial Disputes among Japan, China and Taiwan concerning the Senkaku Islands IBRU
[16] 웹사이트 Japan's Legal Response in the Gray Zone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20-08-06
[17] 문서 琉球群岛人民反对美国占领的斗争
[18] 간행물 Representative Office of Japan to PNA, Newsletter #2, November 2010; see Item 3 http://www.ps.emb-ja[...] 2011-07-22
[19] 뉴스 Why Japan claims the Senkaku Islands http://www.asahi.com[...] 2010-09-25
[20] 서적 Gendai Chūgoku nenpyō, 1941–2008. Iwanami shoten
[21] 웹사이트 Maehara: ''People's Daily'' described Senkaku Islands as Japan's in 1953 http://search.japant[...] 2011-02-03
[22] 문서 对日和约中关于领土部份问题与主张提纲草案
[23] 문서 北中南三部 中部是沖縄諸島(...) 南部是宮古群島和八重山群島(尖頭諸嶼)
[24] 문서 东經123° – 125° 北纬25° 30' – 26° 間之尖閣諸島及东經124° – 125° 北纬25° 30' – 26° 間之赤尾嶼亦是台灣甚近是非應划入台灣亦須研究
[25] 웹사이트 1950 Chinese diplomatic draft sees Senkakus as part of Ryukyus http://english.kyodo[...] 2012-12-28
[26] 웹사이트 As far back as 1950, China referred to Senkakus as part of Ryukyus http://ajw.asahi.com[...] 2012-12-28
[27] 웹사이트 China cracks down on erroneous maps http://www.china.org[...] Xinhua China.org.cn 2013-01-09
[28] 웹사이트 China-Japan tensions http://www.washingto[...] 2010-09-18
[29] 웹사이트 1969 Chinese atlas used 'Senkaku Islands' http://the-japan-new[...] 2015-07-12
[30] 논문 The Diaoyutai Islands on Taiwan's Official Maps: Pre- and Post-1971
[31] 서적 Sovereign Rights and Territorial Space in Sino-Japanese Relations: Irredentism and the Diaoyu/Senkaku Islan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0-05-23
[32] 서적 p. 11. excerpt: "Further support for Japan's claim is the fact that" in the World Atlas, Volume 1, East Asia Nations, 1st edition, published in October 1965, by the National Defense Research Academy and the China Geological Research Institute of Taiwan, and in the People's Middle School Text-book. google books
[33] 서적 p. 11. google books
[34] 문서 "「国民中学地理教科書・第四冊(Geography textbook for national junior high schools)」January 1970"
[35] 문서 Sangoku tsūran zusetsu.三國通覧圖說. Sŏul : Kyŏngin Munhwasa, 1982.Hayashi, Shihei, 1738–1793.Reprint.Preface by Katsuragawa Hoshū dated Tenmei kinotouma [sic]; introd. by Hayashi Shihei, the author, dated Tenmei 5 [1785].
[36] 웹인용 三国通覧図説 (Sangoku Tsuran Zusetsu) http://www.wul.wased[...] 林子平(Hayashi Shihei) 2010-09-20
[37] 웹인용 The Inconvenient Truth Behind the Diaoyu/Senkaku Islands http://kristof.blogs[...] The New York Times 2012-09-19
[38] 서적 Territorial Disputes among Japan, China and Taiwan concerning the Senkaku Islands (Boundary & Territory Briefing Vol.3 No.7) https://books.google[...] IBRU 2015-11-15
[39] 문서 Diplomatic statements at the Japan-China Summit Meeting between Prime Minister Kakuei Tanaka and Premier Zhou Enlai on 27 September 1972
[40] 웹인용 On the sovereignty of Diaoyu Islands http://gz.fjedu.gov.[...] Fujian Education Department 2012-02-29
[41] 웹인용 Sangoku Tsuran Zusetsu https://www.worldcat[...] 2019-04-30
[42] 뉴스 Japan's action off Diaoyu raises concern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10-09-10
[43] 웹사이트 Q&A on the Senkaku Islands http://www.mofa.go.j[...] 2014-10-30
[44] 웹사이트 Koji Taira http://japanfocus.or[...] Japan Focus 2012-08-20
[45] 웹사이트 Potsdam Declaration (full text) http://www.ndl.go.jp[...] 2014-10-30
[46] 뉴스 An Declaration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71–12–30 People's Daily 1971-12-31
[47] 서적 https://books.google[...]
[48] 서적 Liang zhong hai dao zhen jing / [Xiang Da jiao zhu] http://bbs.home.news[...]
[49] 뉴스 China's Diaoyu Islands Sovereignty is Undeniable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03-05-25
[50] 뉴스 THE JAPAN-CHINA TREATY – Full Text of the Shimonoseki Peace Convention. HOW THE INDEMNITY IS TO BE PAID Korea's Autonomy Is Assured – Japan Treats China as a Semi-Civilized Nation – The Cession Clause Opposed by Russia. – Article https://query.nytime[...] 2012-06-10
[51] 뉴스 Taipei Declines Beijing's Invitation To Solve Disputed Territory Issues Together Radio Taiwan International 2012-04-26
[52] 웹사이트 日本外务省称人民日报曾承认钓鱼岛属冲绳一部分_资讯频道_凤凰网 http://news.ifeng.co[...] 2014-10-30
[53] 뉴스 More Protests in China Over Japan and Islands https://www.nytimes.[...] 2012-10-08
[54] 뉴스 China and the movable boundaries of an amorphous empire https://vancouversun[...] 2012-10-07
[55] 뉴스 Sentiment Builds in China to Press Claim for Okinawa https://www.nytimes.[...] 2013-06-13
[56] 뉴스 Japan refuses China demand for apology in boat row http://uk.reuters.co[...] Reuter 2010-09-25
[57] 웹사이트 The Basic View on the Sovereignty over the Senkaku Islands http://www.mofa.go.j[...] 2010-10-10
[58] 뉴스 Letter to the Editor: Clarifying the Senkaku Islands Dispute https://www.wsj.com/[...] 2010-09-21
[59] Youtube Akira Ikegami Special なぜ日中は対立するのか? 映像で見えてきた尖閣問題
[60] 웹사이트 日本的東海政策 — 第四章:釣魚臺政策 http://nccuir.lib.nc[...] 2013-10-30
[61] 뉴스 Jurisdiction over remote Senkakus comes with hot-button dangers http://www.japantime[...] 2012-05-17
[62] 웹사이트 The Basic View on the Sovereignty over the Senkaku Islands http://www.mofa.go.j[...]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10-10-10
[63] 웹사이트 沖縄県下八重山群島ノ北西ニ位スル久場島魚釣島ヘ標杭ヲ建設ス http://www.jacar.go.[...] Japan Center for Asian Historical Records 2010-10-04
[64] 웹사이트 島の領有と経済水域の境界確定 http://akebonokikaku[...] Akebonokikaku.hp.infoseek.co.jp 2012-08-20
[65] 문서 海道副使 [Haidao fu shi]
[66] 문서 皆是我関閩門
[67] 문서 此外溟渤華夷所共
[68] 웹사이트 Chinese document contradicts Beijing's claim to Senkakus http://www.yomiuri.c[...] 2013-02-05
[69] 웹사이트 The annals of Ming Dynasty says China didn't control the Senkaku 400 years ago http://www.yomiuri.c[...] 2013-01-21
[70] 웹사이트 Lee Teng-hui arrives in Japan http://www.taipeitim[...] 2009-09-22
[71] 뉴스 Taiwan's Former President Causes Controversy in Japan https://thediplomat.[...] 2015-07-31
[72] 뉴스 Lee Teng-hui: Diaoyutais have always been Japan's https://archive.toda[...] 2015-07-31
[73] 웹사이트 Press Conference 27 September 2002 http://www.mofa.go.j[...]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2012-10-04
[74] 웹사이트 CIVIL ADMINISTRATION PROCLAMATION NO. 27 GEOGRAPHICAL BOUNDARIES OF THE RYUKYU ISLANDS http://www.niraikana[...] the ryukyu-okinawa history and culture website 2014-05-23
[75] 웹사이트 China's Maritime Territorial Claims: Implications for U.S. Interests http://www.hsdl.org/[...]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2-10-09
[76] 뉴스 U.S. killed '71 plan for Senkaku Islands weather station http://www.japantime[...] Kyodo News 2013-09-05
[77] 웹사이트 Japan's Claim over Senkaku Islands Strong: 1971 CIA Report https://web.archive.[...] Jiji Press 2012-10-02
[78] 웹사이트 U.S. Confirmed Japan's "Residual" Senkaku Sovereignty in 1971 https://web.archive.[...] Jiji Press 2012-10-03
[79] 웹사이트 We're sorry, that page can't be found. https://fpc.state.go[...] 2017-06-25
[80] 뉴스 U.S. ceased using Senkakus firing range in 1978 to avoid riling China https://english.kyod[...] 2021-04-06
[81] 뉴스 Treaty With Japan Covers Islets in China Spat: U.S. Official https://www.reuters.[...] 2012-09-20
[82] 웹사이트 U.S. Senate reaffirms defense of Senkakus under Japan-U.S. pact http://english.kyodo[...] 2012-12-15
[83] 웹사이트 H.R. 4310: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for Fiscal Year 2013, SEC. 1251. SENSE OF THE SENATE ON THE SITUATION IN THE SENKAKU ISLANDS. http://www.gpo.gov/f[...]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2-12-15
[84] 웹사이트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 http://www.defense.g[...]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2013-05-09
[85] 웹사이트 US senators blast China's use of force in sea disputes http://www.abs-cbnne[...] ABS-CBNnews.com 2013-06-13
[86] 웹사이트 Senate Resolution 167-Reaffirming the strong support of the United States for the peaceful resolution of territorial, sovereignty, and jurisdictional disputes in the Asia-Pacific maritime domains http://beta.congress[...] Congress.Gov 2013-06-20
[87] 웹사이트 US Senate okays reso on South China Sea disputes http://www.abs-cbnne[...] ABS-CBNnews.com 2013-07-31
[88] 웹사이트 US needs more amphibious lift in Pacific: commander https://web.archive.[...] 2014-03-27
[89] 웹사이트 Hagel: U.S. strongly committed to protecting Japan https://archive.toda[...] armytimes.com 2014-04-05
[90] 웹사이트 Joint Press Conference with President Obama and Prime Minister Abe of Japan https://obamawhiteho[...] 2014-04-24
[91] 웹사이트 U.S.-Japan Joint Statement:The United States and Japan: Shaping the Future of the Asia-Pacific and Beyond http://www.mofa.go.j[...]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4-04-25
[92] 뉴스 米大統領「尖閣に安保適用」
[93] 웹사이트 Biden says US-Japan defence treaty applies to disputed Senkaku Islands https://www.ft.com/c[...] 2020-11-11
[94] 웹사이트 U.S. reaffirms commitment to Japan to defending islands disputed with China https://www.reuters.[...] Reuters.com 2021-01-25
[95] 서적 The Management of Marine Regions: the North Pacific 1982
[96] 웹사이트 M. Taylor Fravel, "Publications" http://web.mit.edu/p[...]
[97] 서적 Toward a New Framework for Peaceful Settlement of China's Territorial and Boundary Disputes.
[98] 뉴스 Q&A: China, Japan and the East China Sea gas dispute, https://www.reuters.[...] Reuters 2010-05-20
[99] 뉴스 Japan suggests hotline to Beijing over island spat http://www.scmp.com/[...] 2013-11-16
[100] 뉴스 Keeping the big picture in sight in Senkaku Islands dispute 2010-10-04
[101] 뉴스 Could the Senkaku/Daoyus Drag Asia into a War? https://web.archive.[...] Asia Sentinel 2013-11-16
[102] 뉴스 Renho refers to Senkakus as territorial issue, but later retracts remark Japan Today
[103] 서적 Island Disputes and Maritime Regime Building in East Asia 2010
[104] 문서 Microsoft Word – 5 Sino-Japanese_Dispute_Pan_Zhongqi.doc
[105] 논문 Sino-Japanese Dispute over the Diaoyu/Senkaku Islands: The Pending Controversy from the Chinese Perspective 2007
[106] 뉴스 India-China: Let facts speak for themselves, http://economictimes[...] The Economic Times 2010-09-17
[107] 뉴스 Diaoyu dispute sowed by US,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10-09-15
[108] 뉴스 Arrest in Disputed Seas Riles China and Japa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0-09-19
[109] 뉴스 Fisherman's arrest in Asia: China and Japan must not trawl for trouble, http://www.csmonitor[...]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2010-09-21
[110] 뉴스 China and Japan square up: The drums of war https://www.economis[...] 2013-11-16
[111] 뉴스 How Involved Is Xi Jinping in the Diaoyu Crisis?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3-11-16
[112] 간행물 The Diaoyu/Senkaku Islands Dispute: Questions of Sovereignty and Suggestions for Resolving the Dispute http://ir.canterbury[...] University of Canterbury (NZ) 2008
[113] 뉴스 The Senkaku or Diaoyu Islands: Narrative of an empty space https://www.economis[...] 2013-11-16
[114] 서적 Territorial Disputes among Japan, China and Taiwan concerning the Senkaku Islands https://books.google[...] IBRU 2020-05-23
[115] 논문 Statement of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December 30, 1971 http://www.massline.[...] 2013-02-10
[116] 뉴스 Activist ship from Hong Kong briefly enters Japan's waters in protest over islands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6-10-26
[117] 뉴스 Officials drop plan to visit Diaoyutais http://www.taipeitim[...] 2013-03-05
[118] 뉴스 Taiwan fishing boat repelled by Japanese ships near Diaoyutai http://www.wantchina[...] 2011-07-22
[119] 뉴스 China lambastes Japan after Taiwan boat confrontation http://uk.reuters.co[...] 2011-07-22
[120] 뉴스 Taiwan, Japan coastguards collide near islands http://www.channelne[...] MediaCorp Pte Ltd. 2013-03-01
[121] 웹사이트 Why Japan, South Korea, and China Are So Riled Up Over a Few Tiny Islands https://www.theatlan[...] 2012-08-18
[122] 뉴스 Senior officials urge calm over islands dispute http://africa.chinad[...] 2013-01-24
[123] 뉴스 Taiwan fishing boat sunk by Japanese frigate http://www.chinapost[...] 2012-08-20
[124] 뉴스 Captain's Apology http://news.bbc.co.u[...] BBC Chinese 2008-06-20
[125] 뉴스 China signals V for Victory,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08-10-05
[126] 뉴스 High-seas collisions trigger Japan-China spat https://www.google.c[...] 2016-11-12
[127] 웹사이트 Rare Earths: The Hidden Cost to Their Magic", Distillations Podcast and transcript, Episode 242 https://www.scienceh[...] 2019-08-28
[128] 뉴스 Japan to free Chinese boat captain https://www.bbc.co.u[...] BBC 2012-08-20
[129] 서적 The dragon roars back : transformational leaders and dynamics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3-01-06
[130] 서적 The dragon roars back : transformational leaders and dynamics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3-01-06
[131] 뉴스 China presses Japan over sea row as Tokyo voices concern http://uk.reuters.co[...] 2011-07-22
[132] 웹사이트 Japanese activists arrive at disputed islands – Asia-Pacific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2-08-20
[133] 뉴스 Japan activists land on disputed islands amid China row https://www.bbc.co.u[...] 2012-08-19
[134] 뉴스 Japan boats reach disputed islands amid China row https://www.bbc.co.u[...] 2012-08-18
[135] 뉴스 Japan Will Have Busy Year Defending Islands Against China http://www.aviationw[...] 2013-03-05
[136] 뉴스 Chinese ships near disputed islands: Japan http://www.hindustan[...] 2012-07-11
[137] 뉴스 Back to the future https://www.economis[...] 2013-03-05
[138] 뉴스 Japan protests Chinese plane entering their airspace https://www.telegrap[...] 2013-03-05
[139] 웹사이트 China flies aircraft over disputed islands http://www.ft.com/in[...] 2012-12-14
[140] 뉴스 Local, Japan vessels clash off Diaoyutais http://chinapost.com[...] 2013-03-05
[141] 뉴스 China 'launches fighter jets' amid Japan dispute https://web.archive.[...] 2013-01-25
[142] 웹사이트 Japan Protests Chinese Ship's Alleged Use of Radar to Guide Missiles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2013-02-06
[142] 뉴스 Japan Accuses China of Using Weapons Radar on Ship https://web.archive.[...] 2013-02-07
[143] 뉴스 Stopping short of war https://www.nation.c[...] Nawaiwaqt Group of Newspapers 2013-03-04
[144] 뉴스 China refutes Japan's allegations on radar targeting https://web.archive.[...] Xinhua Network Corporation Limited 2013-03-04
[144] 뉴스 China Denies Directing Radar at Japanese Naval Vessel and Copter https://www.nytimes.[...] 2013-03-04
[145] 뉴스 PLA Navy's three fleets meet in South China Sea for rare show of force http://www.scmp.com/[...] 2011-07-16
[146] 웹사이트 Tokyo's incitement incurs dangerous cycle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13-10-28
[147] 웹사이트 China's Military Trains for War Against Japan https://thediplomat.[...] thediplomat.com 2014-02-20
[148] 뉴스 Chinese signaling in the East China Sea? https://www.washingt[...] 2014-04-13
[149] 뉴스 Tiny East China Sea islands could be the next military flashpoint in Asia https://www.cnn.com/[...] 2020-06-21
[150] 웹사이트 Japan sights China, Russia warships near disputed islands https://www.yahoo.co[...] 2022-07-04
[151] 웹사이트 China ships stay in Japan territorial waters off Senkakus for over 80 hours https://www3.nhk.or.[...] 2023-04-02
[152] 웹사이트 Japan apologises over Taiwan boat incident https://web.archive.[...] 2012-08-20
[153] 뉴스 Japanese activists land, raise flags on disputed island, provoking Chinese protests https://web.archive.[...] 2012-08-18
[154] 뉴스 China releases 3 Japanese but isle dispute lingers https://web.archive.[...] 2010-09-30
[155] 웹사이트 President Ma's "East China Sea Peace Initiative" - Press Releases - Taipei Mission in Sweden 駐瑞典台北代表團 https://web.archive.[...] 2018-07-30
[156] 서적 Island X: Taiwanese Student Migrants, Campus Spies, and Cold War Activism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3
[157] 웹사이트 Second Day of Anti-Japan Protests Rock China https://www.npr.org/[...] 2012-09-17
[158] 웹사이트 Anti-Japan Protests Spread to Hong Kong http://www.voanews.c[...] 2012-09-17
[159] 뉴스 ROC, PRC flags fly together at anti-Japan protest in NY China Post 2012-09-18
[160] 뉴스 China struggles to curb anger as protesters denounce Japan https://www.reuters.[...] 2012-09-16
[161] 뉴스 Anti-Japan Protests in China Swell, Turn Violent http://www.huffingto[...] 2012-09-15
[162] 웹사이트 Xi'an Protesters Overturn Cars http://sg.news.yahoo[...] 2012-09-17
[163] 서적 The Art of State Persuasion: China's Strategic Use of Media in Interstate Disputes Oxford University Press
[164] 뉴스 Japan protests new China 'air defence zone'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3-12-14
[165] 웹사이트 Why China's new air zone incensed Japan, U.S. http://www.cnn.com/2[...] 2016-10-21
[166] 뉴스 U.S. defies China, sends bombers into disputed East China Sea zone http://www.latimes.c[...] 2013-11-26
[167] 뉴스 Japan and South Korea defy Chinese air defence zone https://www.theguard[...] 2013-12-14
[168] 뉴스 US cautions airlines crossing China air zone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3-12-14
[169] 뉴스 China Patrols Air Zone Over Disputed Islands https://www.nytimes.[...] 2017-02-12
[170] 뉴스 China fighter jets fly through disputed zone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3-12-14
[171] 뉴스 Will there be war over the Tiaoyutais? China Post 2012-07-23
[172] 뉴스 Japan opens radar station close to disputed isles, drawing angry... https://www.reuters.[...] 2017-07-02
[173] 웹사이트 Japan Builds Radar on Yonaguni, Angering China http://www.maritime-[...] 2016-06-09
[174] 뉴스 China's ships are getting bigger and more aggressive, and Japan is scrambling to keep up https://ca.news.yaho[...] Business Insider 2021-02-25
[175] 뉴스 Chinese ships near Senkakus for first time since new law allowing use of arms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21-02-06
[176] 웹사이트 Japan Awards Contract to Shipbuilder JMU for 12 New Offshore Patrol Vessels https://thediplomat.[...] 2022-09-07
[177] 웹사이트 Japan Marine United selected to build JMSDF's next-gen OPV https://www.asianmil[...] 2022-09-07
[178] 뉴스 Japan: teachers to call Senkaku and Takeshima islands Japanese territory https://www.theguard[...] 2014-01-28
[179] 간행물 PLA Lt. Gen.: Wissler should pay respect to Chinese military http://eng.chinamil.[...] China Military Online 2014-04-17
[180] 뉴스 Japan protests after Chinese warship sails near disputed islands https://www.theguard[...] 2021-11-07
[181] 웹사이트 China sends message to US, Japan with frigate near Senkaku http://asia.nikkei.c[...]
[182] 웹사이트 Japan protests as China's PLA Navy sails near disputed Diaoyu Islands in East China Sea http://www.scmp.com/[...] 2021-11-07
[183] 웹사이트 Chinese fishing boat sinks after colliding with freighter near Senkakus http://www.japantoda[...] 2021-11-07
[184] 뉴스 Beijing thanks Tokyo for rescue after Chinese fishing boat collides with freighter near Senkakus http://www.japantime[...] 2021-11-07
[185] 웹사이트 【佐藤優の眼光紙背】1997年11月11日付の小渕書簡があるため日本政府は尖閣諸島周辺の中国漁船を取り締まることができない(眼光紙背) – BLOGOS(ブロゴス) http://blogos.com/ar[...]
[186] 웹사이트 Japan, Taiwan agree on fishing rules in waters around Senkakus https://web.archive.[...] The Asahi Shimbun Company 2014-01-23
[187] 문서 以前は主張だけであり、自国でも法的に[[領海]]として尖閣諸島は含めていなかったが、1992年制定された領海法で「自国領」だと中華人民共和国の法として初明記された。
[188] 웹사이트 中国軍部、尖閣「自国領」へ介入 92年領海法で明記実現(共同通信) https://news.yahoo.c[...] 2023-06-02
[189] 뉴스 40年間続く保釣運動 漁業権も主張 http://www.usfl.com/[...] 2010-10-09
[190] 문서 新崎(2013)pp.7-8
[191] 문서 新崎(2013)pp.13-15
[192] 웹사이트 琉球王族、1819年に尖閣へ 領有権裏付ける資料公表 - 沖縄 http://www.asahi.com[...] 2017-05-13
[193] 문서 (石澤兵吾「久米赤島久場島魚釣島三島之取調書」(1885年 9 月21日)B03041152300-9、外交史料館蔵)
[194] 문서 西村捨三「第315号 久米赤島外二島取調の儀ニ付上申」(1885年 9 月22日)外務省編纂『日本外交文書』(第 18 巻)日本国際連合協会1951年12月573-574頁
[195] 문서 朝日新聞の原文は、石井望「歐洲史料尖閣獺祭録」39に轉載、平成28年6月3日「八重山日報」。
[196] 문서 石澤兵吾「魚釣島外二島巡視取調概略」(1885年11月4日)B03041152300-18〜21、外交史料館蔵
[197] 문서 山田(2013)pp.93-94
[198] 서적 笹森儀助著「南島探験」
[199] 웹사이트 2009年度 尖閣研究・尖閣諸島海域の漁業に関する調査報告2:第1章その1 http://fields.canpan[...] 尖閣諸島文献資料編纂会
[200] 문서 保阪(2011)pp.200-203
[201] 문서 山田(2013)pp.95-97
[202] 문서 新崎(2013)pp.15-18
[203] 문서 新崎(2013)pp.15-18
[204] 문서 山田(2013)pp.91-92
[205] 웹사이트 Q2 尖閣諸島に対する日本政府の領有権の根拠は何ですか。 https://www.mofa.go.[...] 外務省
[206] 문서 山田(2013)pp.104-105
[207] 뉴스 日中関係学会研究会(2019年11月28日)講演者:中兼和津次先生(東京大学名誉教授、東洋文庫研究員) https://www.mmjp.or.[...] 日中関係学会
[208] 문서 新崎(2013)pp.9-10
[209] 뉴스 <人民日報の古い記事は日本を救う藁ではない> http://japanese.chin[...] 人民日報 2012-10-09
[210] 뉴스 从历史事实看钓鱼岛主权归属 http://theory.people[...] 人民日報 2011-01-13
[211] 뉴스 朝日新聞 1963-05-21
[212] 뉴스 朝日新聞 1968-07-18
[213] 뉴스 琉球新報 1970-09-20
[214] 웹사이트 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15] 서적 断固「NO」と言える日本―戦後日米関係の総括 光文社 1991-05-01
[216] 뉴스 朝日新聞 1970-09-04
[217] 서적 写真記録 沖縄戦後史 沖縄タイムス社 1987
[218] 뉴스 検証・釣魚島領有権問題に関する中日間の「棚上げ合意」 http://j.people.com.[...] 人民網日本語版 2013-10-28
[219] 간행물 釣魚島(尖閣諸島)領有権問題に関する 中日間の棚上げ合意の史的経緯 http://repo.lib.ryuk[...] 2013-10-28
[220] 간행물 釣魚島(尖閣諸島)『棚上げ合意』が再確認された経緯を解明する~1978年と1990年代を中心に~ https://diamond.jp/a[...] 2013-10-28
[221] 서적 中印国境紛争 時事通信社 1972
[222] 서적 中印国境紛争 その背景と今後 時事通信社 1972
[223] 웹사이트 アジアの空軍軍拡競争を誘発する中国 - 「機は熟す」か(第1回) https://www.nids.mod[...] 防衛研究所 2011-01-18
[224] 웹사이트 アジアの空軍軍拡競争を誘発する中国 - 「機は熟す」か(第2回) https://www.nids.mod[...] 防衛研究所 2011-01-26
[225] 문서 尖閣諸島写真集 尖閣諸島防衛協会
[226] 문서 保阪(2011)pp.203-205
[227] 문서 山田(2013)pp.106-109
[228] 문서 保阪(2011)pp.208-210
[229] 뉴스 【土・日曜日に書く】 論説委員・石川水穂 領土保全を怠ってきた政府 (1/3ページ)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3-06-12
[230] 문서 保阪(2011)pp.218-220
[231] 문서 新崎(2013)pp.10-13
[232] 문서 山田(2013)pp.101-105
[233] 웹사이트 中国的圣神领土钓鱼列岛 http://news.ifeng.co[...] 鳳凰衛視
[234] 웹사이트 神圣的领土钓鱼诸岛 http://news.xinhuane[...] 新华资料
[235] 문서 山田(2013)pp.63-65
[236] 문서 山田(2011)pp.16-19
[237] 문서 山田(2011)pp.22-25
[238] 문서 山田(2013)pp.108-109
[239] 뉴스 毎日新聞 1971-04-12
[240] 문서 李登輝・金美齢(2012)pp.108-109
[241] 문서 美人を見たら自分の妻だと主張する国 文藝春秋 2011-02
[242] 뉴스 台湾が感動した安倍総理の友人発言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013-05
[243] 문서 山田(2013)pp.160-164
[244] 웹사이트 対話機運の醸成困難=尖閣国有化への反発根強く-台湾 http://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12-09-25
[245] 문서 山田(2013)pp.156-157
[246] 서적 山田(2013)pp.158-159
[247] 뉴스 尖閣領有を初決議=立法院が主権宣言-中華民国 http://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12-10-19
[248] 웹사이트 「尖閣諸島は台湾領」と次期総統の蔡英文氏【台湾総統選】 https://www.huffingt[...] The Huffington Post 2016-01-17
[249] 뉴스 【台湾・蔡英文主席会見詳報】「尖閣は台湾側に主権があるが、日本との関係強化を続ける」 英語通訳のみ日米名指しで感謝(7/7ページ) https://www.sankei.c[...] 2016-01-25
[250] 웹사이트 日中関係(尖閣諸島をめぐる情勢) https://www.mofa.go.[...] 外務省 2013-02-02
[251] YOMIURI ONLINE 尖閣侵入なら、海自が海上警備行動…中国に通告 https://web.archive.[...] 2016-01-12
[252] 뉴스 中台、尖閣の日本編入に反対 沖縄返還時に米に要求 https://web.archive.[...] 47NEWS 2013-04-29
[253] 문서 「第1次クリントン政権下における日米防衛関係」 https://www.nids.mod[...]
[254] 문서 日米安全保障体制について https://www.mofa.go.[...] 外務省
[255] 뉴스 尖閣諸島攻撃には日米共同で対処 米に確認と官房長官 https://web.archive.[...] 47NEWS 2013-04-29
[256] 뉴스 尖閣、最善は平和解決=対中関係好転に期待-在日米軍司令官 http://www.jiji.com/[...]
[257] 뉴스 尖閣は安保の対象、米国務長官 日米外相が初会談、漁船衝突で https://web.archive.[...] 2010-09-24
[258] 뉴스 「尖閣は日米安保適用対象」クリントン長官、明言 日米外相会談で (1/2ページ) https://web.archive.[...] 2010-09-24
[259] 뉴스 尖閣沖事件「日本を強く支持」=安保条約の適用対象-米統参議長 http://www.jiji.com/[...] 2010-09-24
[260] 뉴스 【尖閣衝突事件】周辺は安保対象と米軍制服組トップ 国防長官も「責任果たす」 https://web.archive.[...] 2010-09-24
[261] 뉴스 尖閣防衛義務を再確認=国防権限法案に異例の明記-米上院 http://www.jiji.com/[...] 2012-12-01
[262] 웹魚拓 米上院「尖閣に安保適用」全会一致…中国けん制 https://megalodon.jp[...] 読売新聞 2012-12-01
[263] 뉴스 米政府、中国に「懸念」伝達 尖閣領空侵犯問題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2-12-15
[264] 뉴스 読売新聞 2012-12-15
[265] 미국합중국국무성 Patrick Ventrell, Acting Deputy Spokesperson, Daily Press Briefing, Washington, DC, December 14, 2012, CHINA/JAPAN; Senkaku Islands http://www.state.gov[...]
[266] 뉴스 読売新聞 2013-01-04
[267] 뉴스 沖縄・尖閣諸島:日米、共同作戦策定へ 中国の挑発行為抑止狙う http://mainichi.jp/s[...] 2013-03-21
[268] 뉴스 中国非難の決議案=防空識別圏の運用自制を-米上院 http://www.jiji.com/[...] 2014-04-09
[269] 뉴스 訪日中の米国防長官、小野寺防衛相と会談 中国をけん制 https://www.afpbb.co[...] 2014-04-07
[270] 뉴스 米国防長官:「尖閣防衛義務果たす」 中国国防相反発 http://mainichi.jp/s[...] 2014-04-09
[271] 뉴스 在日米海兵隊司令官「尖閣奪還 遂行可能」 https://www.okinawat[...] 2014-04-13
[272] 뉴스 毎日新聞、時事通信 2014-04-24
[273] 웹사이트 Joint Press Conference with President Obama and Prime Minister Abe of Japan(安倍晋三内閣総理大臣とバラク・オバマ米国大統領の共同記者会見) http://www.whitehous[...] ホワイトハウス 2014-05-07
[274] 웹사이트 日米共同記者会見 https://www.kantei.g[...] 首相官邸 2014-05-07
[275] 웹사이트 日米共同声明:アジア太平洋及びこれを越えた地域の未来を形作る日本と米国 https://www.mofa.go.[...] 외무성 2014-05-07
[276] 웹사이트 U.S.-Japan Joint Statement:The United States and Japan: Shaping the Future of the Asia-Pacific and Beyond https://www.mofa.go.[...] 외무성 2014-05-07
[277] 뉴스 日米共同声明 読売新聞 2014-04-26
[278] 뉴스 オバマ大統領「尖閣は安保対象」明言 https://www.nikkei.c[...] 2014-10-08
[279] 뉴스 尖閣に安保適用を明記 日米共同声明 http://www.asahi.com[...] 2015-07-28
[280] 뉴스 米大統領「尖閣に安保適用」 2014-04-23
[281] 뉴스 日米共同声明 アジア太平洋及びこれを越えた地域の未来を形作る日本と米国
[282] 뉴스 オバマ大統領、尖閣諸島の安保適用を明言 新聞インタビュー https://www.cnn.co.j[...] 2014-04-24
[283] 뉴스 「尖閣奪取の企てあれば日本支援」米国防副長官 https://web.archive.[...] 2014-10-01
[284] 뉴스 米司令官、尖閣防衛を言明 http://this.kiji.is/[...] 2016-01-28
[285] 뉴스 米軍司令官「中国攻撃なら尖閣守る」 南シナ海へ艦船派遣拡大 https://www.nikkei.c[...] 2016-01-28
[286] 뉴스 「中国攻撃なら尖閣防衛」米司令官、軍事介入言明 名指しでけん制 https://web.archive.[...] 2016-01-28
[287] 뉴스 「中国から攻撃あれば尖閣を守る」 米軍司令官が言及 http://www.asahi.com[...] 2016-01-28
[288] 서적 尖閣列島・釣魚島問題をどう見るか―試される21世紀に生きるわれわれの英知 https://web.archive.[...] 日本僑報社 2004
[289] 문서 村田(2013)
[290] 서적 だから日本人は騙される 尖閣・竹島問題でわかった歴史のウソ 経済界 2013-05-25
[291] 간행물 中国・明時代の支配域は? 古文献に見る尖閣諸島の歴史的経緯 http://thepage.jp/de[...] The Page 2015-03-28
[292] 문서 史料第百四十七條
[293] 기타 尖閣島名の淵源(下) https://www.jiia.or.[...] 日本國際問題研究所 2022-03-31
[294] 서적 尖閣釣魚列島漢文史料 : 和訓淺解
[295] 서적 尖閣列島と竹島 https://web.archive.[...] 교육사 1978
[296] 문서 【13】 尖閣列島に関する琉球立法院決議および琉球政府声明 8月31日, 9月17日 鹿島平和研究所、原書房 1984-02-28
[297] 문서 尖閣列島の領土権について 琉球政府
[298] 웹사이트 尖閣列島に関する琉球立法院決議および琉球政府声明 https://worldjpn.net[...] 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田中明彦研究室 2010-12-14
[299] 간행물 南方同胞援護会機関紙「季刊沖縄」第五十六号 特集尖閣列島 1971-03
[300] 학술지 オックスフォード写本で新事実 1403年に釣魚嶼なし http://www.nipponkai[...] 日本会議 2013-07
[301] 기타 デビッド・ヘリウェル、ぶつかり合う岩山、尖閣諸島と2冊の航路案内書、付記 http://www.naigai-gr[...] 島嶼研究ジャーナル 2014-05
[302] 학술지 向達校注『両種海道針経』中の「順風相送」について--16世紀における中国商船の針路 1985-09
[303] 뉴스 領有主張「完全な誤り」 「中国が600年前から支配」 石井氏、学術的に反証 〝尖閣は琉球文化圏〟と指摘 http://www.yaeyama-n[...] 八重山日報 2012-11-09
[304] 뉴스 明国地図、尖閣は「国外」 中国公式見解を否定 石井准教授「具体的反論を」 http://www.yaeyama-n[...] 八重山日報 2012-10-06
[305] 뉴스 尖閣前史、無主地の一角に領有史料あり http://www.yaeyama-n[...] 八重山日報 2012-08-03
[306] 문서 井上(1996)
[307] 기타 「尖閣列島問題と井上清論文」 http://senkakujapan.[...] 1973
[308] 웹사이트 馬英九閣下、尖閣史料ご提供に感謝 http://www.yaeyama-n[...] 八重山日報 2012-11-26
[309] 기타 チャイナの尖閣主張、繰り返す類型あり http://www.jfss.gr.j[...] 日本戦略研究フォーラム季報 2013-04
[310] 기타 琉球附属の尖閣を偵察  寧波の乱から必然の勢 https://www.shimbun-[...] 小チャイナと大世界
[311] 웹사이트 尖閣はなぜ日本領か 歴史的・法的根拠を示そう https://wedge.ismedi[...] Wedge 2013-01-18
[312] 문서 史料第82条
[313] 학술지 琉球尖閣近著雑録 https://ci.nii.ac.jp[...] 2015
[314] 기타 公式認定最重要史料の「釣魚臺」、尖閣ではなかった 笹川財團 2019
[315] 웹사이트 釣魚島問題で歴史的根拠がないのは一体どの国か(3) http://j.people.com.[...]
[316] 서적 石泉山房文集 荘厳文化公司
[317] 뉴스 明の上奏文に「尖閣は琉球」と明記 中国主張の根拠崩れる https://archive.is/2[...] 産経新聞 2012-07-17
[318] 논문
[319] 서적 日本国窃土源流 釣魚列嶼主権弁
[320] 간행물 尖閣釣魚列島雑説七篇 https://docs.google.[...] 長崎純心大学
[321] 간행물 尖閣諸島の帰属について(中) 1972
[322] 서적 日本の領土 2002
[323] 웹사이트 中国の主権を示す証拠を展示 北京で「釣魚島主権証拠・国宝大展」 http://www.china-emb[...] 中華人民共和国在日本国大使館
[324] 뉴스 強引「命名」で領有権宣伝 尖閣で中国 根拠ない学説も使用 http://www.yaeyama-n[...] 八重山日報 2012-12-18
[325] 논문
[326] 웹사이트 京都大学蔵嘉靖45年刊本 http://kanji.zinbun.[...]
[327] 간행물 尖閣釣魚列島雜説七篇 長崎純心大学比較文化研究所 2013
[328] 뉴스 尖閣は前近代中国にとって「航路標識」にすぎない 尖閣関連史料から見る中国の矛盾(前篇) https://wedge.ismedi[...] ウェッジ 2015-04-24
[329] 뉴스 尖閣は前近代中国にとって「航路標識」にすぎない 尖閣関連史料から見る中国の矛盾(前篇) http://wedge.ismedia[...] ウェッジ 2015-04-24
[330] 논문
[331] 뉴스 尖閣をまもる秘策あり下、日本でなく福建の領土問題を論じよう http://www.yaeyama-n[...] 2013-06-18
[332] 뉴스 尖閣無主地、江戸時代に確認、領土編入の280年前 http://www.yaeyama-n[...] 2013-03-17
[333] 뉴스 尖閣、400年前は支配外…明王朝公式日誌に https://web.archive.[...] 2013-01-21
[334] 웹사이트 新発見の「尖閣史実」(皇明実録)に「中国の主張」を覆す威力 http://mamoretaiwan.[...]
[335] 논문
[336] 논문
[337] 웹사이트 中国、「釣魚島は中国固有の領土」白書を発表 http://j.people.com.[...] 人民網 2012-09-25
[338] 뉴스 明の上奏文「尖閣は琉球」明記 中国の主張崩壊 https://archive.is/2[...] 産経新聞 2012-07-17
[339] 논문
[340] 뉴스 尖閣前史、無主地の一角に領有史料有り http://www.yaeyama-n[...] 2012-08-03
[341] 뉴스 尖閣東に琉球との境界線 新説、中国公式見解を否定 http://www.yaeyama-n[...] 2012-12-24
[342] 간행물 チャイナの尖閣主張、繰り返す類型あり http://www.jfss.gr.j[...] 2013-04
[343] 간행물 尖閣釣魚列島雑説七篇 https://docs.google.[...] 長崎純心大学
[344] 간행물 華夷秩序に無主の地あり、琉球、尖閣、くにのかたち http://www.amazon.co[...]
[345] 뉴스 中国釣魚島特設サイトの虚構を暴く https://www.shimbun-[...] 2015-02-17
[346] 서적 眞實の尖閣史 扶桑社
[347] 논문
[348] 논문
[349] 웹사이트 瑪格@図写文創生活 http://margaret1122.[...] 2012-08-30
[350] 뉴스 尖閣は台湾の一部分ではないことを読み取れない中国 尖閣関連史料から見る中国の矛盾(後篇) https://wedge.ismedi[...] ウェッジ 2015-04-27
[351] 뉴스 尖閣は台湾の一部分ではないことを読み取れない中国 尖閣関連史料から見る中国の矛盾(後篇) http://wedge.ismedia[...] ウェッジ 2015-04-27
[352] 뉴스 清国の「釣魚台」は尖閣ではなかった!! http://www.shukousha[...] 八重山日報 2014-05-30
[353] 뉴스 尖閣諸島の資料、長崎純心大准教授が中台主張の矛盾指摘 https://archive.md/U[...] 朝日新聞デジタル 2017-11-17
[354] 뉴스 尖閣に新証拠、中国主張覆す 清代公式文献に「台湾の一部ではない」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0-11-04
[355] 서적 大清一統志
[356] 웹사이트 尖閣諸島問題について http://www.fis.takus[...]
[357] 뉴스 清国の「釣魚台」は尖閣ではなかった!! http://www.shukousha[...] 八重山日報 2014-05-30
[358] 문서 三国通覧図説 付図 琉球島図 http://record.museum[...]
[359] 문서 古絵図資料一覧 琉球三省並三十六島之圖 http://www.tulips.ts[...]
[360] 논문 史料第35条
[361] 뉴스 尖閣諸島歴史問答~開拓の日に寄せて①尖閣を台湾と別色に塗る地図なのに台湾に属すると主張 http://www.yaeyama-n[...] 八重山日報 2014-01-12
[362] 논문
[363] 서적 林子平、その人と思想 http://senkakujapan.[...] 宝文堂
[364] 서적 釣魚台群島(尖閣諸島)問題 研究資料匯編 刀水書房
[365] 뉴스 歐洲古圖為證:釣魚台自古不屬於中國 http://www.peoplenew[...] 民報文化事業公司 2015-09-18
[366] 간행물 尖閣諸島の琉球名と中国名のメモ http://forum.sitemix[...] 沖縄大学地域研究所 2013-01-01
[367] 간행물 尖閣最初の上陸記録は否定できるか――明治から文政に遡って反駁する http://islandstudies[...] 島嶼研究ジャーナル 2014-11
[368] 뉴스 <領土問題>日本人が発見する39年前、外国人は中国に「上陸許可」を申請していた!―中国報道 http://www.xinhua.jp[...] 新華社 2013-05-16
[369] 뉴스 中國の〝妄説〟打破 香港研究者 ネットで流布 石井氏「清代の尖閣、無主地」 http://www.yaeyama-n[...] 2013-05-21
[370] 논문 第4部論文「尖閣南北航路説」
[371] 뉴스 清国史料、また「尖閣は国外」 台湾総統「発見」が逆証明 中台の領有主張崩壊 http://www.yaeyama-n[...] 八重山日報 2012-11-05
[372] 논문 史料第23・44条
[373] 논문 明治期における尖閣諸島への日本人の進出と古賀辰四郎 https://doi.org/10.4[...] 人文地理学会 2005
[374] 논문 古賀辰四郎最早開發釣魚島僞證之研究 http://www.cnki.com.[...] 2014
[375] 간행물 尖閣最初の上陸記録は否定できるか――明治から文政に遡って反駁する http://www.naigai-gr[...] 島嶼研究ジャーナル第4巻1号
[376] 논문 古賀辰四郎最早開發釣魚島僞證之研究 http://www.cnki.com.[...] 2014
[377] 간행물 尖閣問題、中國の癖玉に気を付けろ http://www.hamadakaz[...] 2014-08
[378] 문서 高橋(1979)
[379] 간행물 尖閣領有権、漢文史料が語る真実 https://cir.nii.ac.j[...] 2011-03
[380] 웹사이트 日本の領土をめぐる情勢 尖閣諸島に関するQ&A https://www.mofa.go.[...] 外務省 2013-06-05
[381] 법률 THE MINQUIERS AND ECREHOS CASE http://www.icj-cij.o[...] 国際司法裁判所 1953-11-17
[382] 법률 CASE CONCERNING SOVEREIGNTY OVER PULAU LIGITAN AND PULAU SIPADAN http://www.icj-cij.o[...] 国際司法裁判所 2001-12-17
[383] 뉴스 尖閣諸島は日清戦争中に中国から奪ったのですか?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2-10-26
[384] 뉴스 歐洲史料 尖閣獺祭録 http://www.shimbun-o[...] 2016-10-25
[385] 간행물 釣魚島特設サイトの虚構を暴く http://islandstudies[...]
[387] 논문 "尖閣釣魚列島雑説四首" https://ci.nii.ac.jp[...]
[387] 논문 "前導者と記録者、東西二界の間にて~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の邵氏の文に駁す" https://ci.nii.ac.jp[...]
[388] 뉴스 刘江永"釣魚島問題をめぐる日本側の虚偽の主張に再び反論する" http://j.people.com.[...] 人民網日本版記事 2016-05-05
[389] 뉴스 海外主要メディアの日本関連報道(9月21日~9月27日) http://www.mofa.go.j[...] 外務省 2012-09-27
[390] 간행물 "外務省記録文書に見る『感謝状』のいきさつ" http://www2.jiia.or.[...] 2013
[391] 뉴스 "臺灣附屬の釣魚嶼は尖閣ではない、またも新發見" http://www.shimbun-o[...] 八重山日報 2015-11-03
[392] 뉴스 歐洲史料 尖閣獺祭録』第二十八囘「英軍水路誌の漢譯、歴史と無縁の宛て字、尖閣はバシー諸島と同卷~~西暦千八百七十四年、キング原著、漢文『海道圖説』(清)」 http://www.shimbun-o[...] 八重山日報 2016-04-26
[394] 논문 關於釣魚臺主權爭端之史實的一封信 http://www.modernchi[...] 1997
[395] 웹사이트 "回應日本外務省:“1969地圖”恰恰說明釣魚島是中國的" http://www.thepaper.[...] 澎湃網
[396] 뉴스 "昭和44年の地圖は油田情報にもとづくーー日本全勝の鍵は尖閣古史に在り" https://archive.is/2[...] 八重山日報・新聞オンライン 2015-03-24
[397] 웹사이트 China-Japan tensions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Times 2010-09-15
[398] 뉴스 毛沢東が「尖閣=日本領」にお墨付き これが決定的な新物証「中国製地図」だ https://www.j-cast.c[...] 2015-03-06
[399] 뉴스 中国の地図「尖閣は日本領」46年前発行…外務省が公表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5-03-16
[400] 웹사이트 地図から見た釣魚島の主権帰属 (4) http://j.people.com.[...] 人民網日本語版 2014-03-07
[401] 간행물 (イ)現行関係法令 外務省の南西諸島観 1971-03
[402] 웹사이트 廉徳瑰:釣魚島の旧称は主権の証拠にならない http://m.japanese.ch[...] 中国網(チャイナネット)
[403] 잡지 正論 産経新聞社 2006-08
[404] 뉴스 「日本は沖縄から退くべき」中国軍少将がラジオで暴言 韓国紙報道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2-07-13
[405] 웹사이트 「反日統一共同戦線を呼びかける中国」 http://japanese.ruvr[...] Voice Of Russia 2012-11-15
[406] 뉴스 中国:「北方領土と尖閣の相互承認」露に打診 http://mainichi.jp/s[...] 2014-02-09
[407] 저널 中国における国益論争と核心的利益 http://research.php.[...] 2012-02-02
[408] 웹사이트 中国、新たに東シナ海も「核心的利益」 香港紙報道 http://www.asahi.com[...] 2010-10-02
[409] 뉴스 「南シナ海も核心的利益 中国国家海洋局長」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2-10-26
[410] 뉴스 中国:尖閣は「核心的利益」…政府当局者、初の公式発言 http://mainichi.jp/s[...] 2013-04-27
[411] 뉴스 「尖閣は核心的利益」発言をあいまいに修正 中国報道官会見の公式サイト https://web.archive.[...] 2013-04-28
[412] 간행물 「海洋権益を守るための9つの提言」 http://www.jimin.jp/[...] 自由民主党政務調査会 2004-06-15
[413] 웹사이트 <尖閣問題>実行寸前だった台湾軍の尖閣強襲計画、李登輝元総統が制止―中国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12-11-10
[414] 뉴스 八重山の漁業者、尖閣の「海域守って」 超党派国会議員に切実な訴え http://www.y-mainich[...] 八重山毎日新聞 2010-10-10
[415] 뉴스 【尖閣国有化】中国、日米に中台「共闘」アピール https://web.archive.[...] 2013-01-26
[416] 뉴스 台湾、日米に事前通告 尖閣抗議船 中国“共闘”ジレンマ https://web.archive.[...] 2013-01-26
[417] 뉴스 尖閣で中国と連携せず、理由を台湾が初公表 日台漁業協議干渉や軍備増強でも中国を批判 https://web.archive.[...] 2013-03-14
[418] 뉴스 日台、尖閣の漁業取り決め調印へ 共同管理で中台連携阻止 https://web.archive.[...] 2013-04-10
[419] 뉴스 尖閣問題で「日本と一戦も辞さない」中国高官 http://sankei.jp.msn[...] 2012-07-13
[420] 뉴스 尖閣、武力衝突の可能性示唆 中国共産党機関紙が論評 http://ryukyushimpo.[...] 琉球新報 2012-07-13
[421] 문서 孫崎(2012)
[422] 뉴스 尖閣問題で中国元少将が「中国海軍、海保・海自の力に及ばぬ」 台湾紙報道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2-07-20
[423] 간행물 The Sino-Japanese Naval War of 2012 http://www.foreignpo[...] 2012-08-20
[424] 뉴스 尖閣で軍事衝突「日本が勝つ」 米専門家が展開を予測 産経新聞 2012-08-22
[425] 문서 小川(2012)pp.141-144
[426] 뉴스 陸自中部方面総監、着任式で情勢分析 「純然たる平時と言えない」 https://web.archive.[...] 2013-08-24
[427] 문서 山田(2013)pp.295-301
[428] 뉴스 中国、東シナ海に「防空識別圏」=尖閣含む、日中の緊張必至-「不審機に緊急措置」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3-11-23
[429] 뉴스 中 군함, 최초로 센카쿠 접속수역 진입…日, 中대사 불러 항의 뉴시스 2016-06-09
[430] 뉴스 美 싱크탱크 "中해군, 日보다 강해…센카쿠 열도 점령 시나리오도" 헤럴드경제 2020-05-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